항목 ID | GC00201277 |
---|---|
한자 | 甲午改革 |
영어공식명칭 | Reforms of the Gabo Year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정욱재 |
[정의]
1894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청주를 비롯하여 조선 정부에 변화를 가져온 개혁 운동.
[갑오개혁의 내용]
갑오개혁 은 1894년 7월 27일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가 설치됨에 따라 추진되었으며, 1896년 2월까지 3차례의 개혁이 있었다. 3차 개혁은 을미개혁이라고도 한다. 1차에서의 주요 내용은 개국(開國) 기년의 사용, 궁내부(宮內府) 설치, 의정부의 8아문 개편, 문벌 및 반상 등의 신분제 폐지, 노비제 폐지, 과거제 폐지, 연좌제 폐지 등이었다. 1차 갑오개혁은 동학농민군이 주장한 폐정 개혁안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차 개혁은 군국기무처가 폐지되면서 김홍집·박영효 내각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2차에서의 주요 내용은 자주 독립의 선언, 의정부의 내각 개편, 왕실 존칭 격상, 8도에서 23부로의 지방제도 개정, 시위대 신설 등이었다. 청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이 조선과 청 간의 전통적 조공 책봉 관계를 끊기 위하여 ‘조선은 자주 독립국’임을 대내외에 선언하도로록 유도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3차 개혁은 김홍집 내각의 주도로 추진되었다. 주요 내용은 소학교 설치, 태양력의 사용, 단발령 선포, 건양(建陽) 연호 사용 등이다.
[갑오개혁과 이후 청주 지역의 변화]
충청북도 청주 지역은 2차 갑오개혁의 조처로 변화가 시작되었다. 기존 8도에서 23부 337군으로 개편됨에 따라 충청도는 충주부, 공주부, 홍주부로 나뉘게 되었다. 당시 청주는 군으로 공주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아관파천 이후 다시 23부를 13도로 개편하면서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나뉘게 되었다. 이때 관찰부는 청주군이 아닌 충주군에 있었는데, 남한강 수운을 통하여 충청도의 조세제도 운영을 담당하던 충주군의 지리적 특성을 청주군보다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제가 경부선 철도를 부설하면서 기존 내륙 수운 교통이 침체됨에 따라 1908년 청주군에 관찰부를 이전하게 되었다. 이로써 청주는 충청북도 제일의 도시가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청주군과 문의군이 청주군으로 통폐합되었다. 1931년 4월 1일 청주군 산하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6년 6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청주읍을 청주부로 승격시켜 청주군에서 분리하였고, 나머지 청주군을 청원군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 8월 15일 청주부는 청주시가 되었다.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가 출범함에 따라 청주와 청원은 다시 같은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
[의의와 평가]
갑오개혁 은 일본의 정치적 개입이 있었고, 친일 성격을 띠는 내각에서 개혁을 추진하였기에 개혁의 내용이 국가의 주권을 침해하는 방향으로 추진된 한계가 있다. 특히, 국방을 위하여서는 필수적이었던 군사 제도의 개혁이 최소한으로 진행되었다는 점 등에서 개혁 추진의 의도가 일본에게 유리한 쪽으로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갑오개혁은 초기에 조선 정부 내 개화파 관료들을 중심으로 시대 흐름에 따른 근대적 개혁의 필요성을 자각하였고, 내재적 요구에 따라 계획되고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자율적 성격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