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곡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721
한자 五穀-
이칭/별칭 찰밥,잡곡밥,오곡잡밥,보름밥,농사밥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명절 음식
재료 멥쌀|찹쌀|조|수수|팥|콩
관련 의례/행사 정월 대보름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정월 대보름에 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로 지어 먹는 밥.

[개설]

오곡밥은 주로 음력 정월 열 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경상북도 청도군에서는 오곡밥을 보름밥, 혹은 농사밥이라고도 부른다.

[연원 및 변천]

오곡밥의 시원에 해당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 밥은 『삼국유사(三國遺事)』 사금갑(射琴匣) 조에 찰밥[糯飯]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나타난다. 『경도잡지(京都雜志)』,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상원(上元) 조에는 찰밥[糯飯 또는 糯米飯]이라 하였다. 또, 『열양세시기(迾陽歲時記)』에는 ‘약밥[藥飯]’이라고 하였다. 다만 『경도잡지』에는 찰밥과 약밥이 동시에 기록되고 있다. 홍석모(洪錫謨)[1781∼1857]의 『동국세시기』에는 찰밥과 별도로 오곡잡밥[五穀雜飯]이 처음 등장한다. 청도 지방에서 오곡밥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다.

[만드는 법]

청도군 지역의 오곡밥 조리법은 일반 메밥[쌀밥]과 비슷하다. 다만 소금을 넣어 약간의 간을 한다는 점과, 콩이나 팥, 조, 수수 등을 미리 불려 놓았다가 밥을 짓는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집집마다 재료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조와 수수는 구하기가 힘들어 넣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울콩이라 하여 크기가 크고 줄무늬가 있는 강낭콩 혹은 양대를 많이 넣는다.

밥을 먹을 때는 묵은 나물, 혹은 묵나물이라 하여 지난해 미리 건조해 놓은 고사리나물, 콩나물, 아주까리나물, 도라지나물, 호박말랭이, 박나물, 무말랭이, 토란잎나물, 가지말랭이, 취나물 등을 곁들여 먹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농사밥을 지어 조왕, 시준, 성주, 나락 창고, 두지 등에 올린다. 농사밥은 좁쌀, 찹쌀, 멥쌀, 콩, 팥으로 지은 오곡밥이다.

청도군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아이들이 자신과 성이 다른 다섯 집을 방문해 오곡밥을 조리에 얻어서 동쪽으로 앉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풍습이 전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