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모심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94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hen Planting Rice
이칭/별칭 「모심는 소리」,「이앙가(移秧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안산시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농업노동요
형성시기 고대~조선시대
토리 「모심기」[동5리] : 솔줏대[S1줏대]선법
출현음 [레]솔·라·도·레·미·솔·라
기능구분 모심는 작업
형식구분 독창|교창
박자구조 가사 4행 중 매행의 선율이 8분음표 10개, 9개, 8개, 8개임
가창자/시연자 김철룡[1910년생]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개설]

「모심기」는 지역에 따라 「모심는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채록/수집상황]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본오동[이경매, 남, 1912년생]과 수암동[김철성, 남, 1910년생]이며, 단원구신길3동 능길마을[김수옥, 남, 1925년생], 대부도의 동5리[김철룡, 남, 1910년생]와 남4리[홍성호, 남, 1916년생/ 김주영, 남, 1917년생] 등이다. 특히 상록구 성포동에는 「모심는 소리」가 없으며, 논맬 때는 4~5명이 함께 일을 했다고 한다. 이중에서 1987년 8월 25일 대부도의 동5리[현재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채록한 「모심기」는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안산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독창 또는 교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도 동5리의 「모심기」는 하나류 중 나열형에 속하나, 음역이 12도에 이를 만큼 넓다. 출현음은 ‘[레]솔·라·도·레·미·솔·라’로서 솔줏대[S1줏대] 선법에 속한다. 아랫[레]는 1회만 짧은 음가로 출현하여 기음의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내용]

여기두 하나를 심었구나 예두 하나를 심었구나/ 여기저하기 심구보니 양식자리가 분명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반월동 안골에서는 일찍 못자리 하는 사람이 곡우 때 물못자리를 하였고, 씨 뿌린 후 40일이 지나면 애벌매기를 했다. 본오동을 포함한 팔곡동(八谷洞)·담원·샛말·정동 5개 마을이 함께 음력 10월 1일에 당제를 지내왔다. 신길3동 능길마을에서는 하지 전3일과 후3일이 모심기에 가장 좋은 때였다고 한다[김수옥 대담, 남, 1925년생]. 모심고 나서 15일 내지 20일 만에 호미로 애벌을 매었다. 1모작지대이다. 모심을 때는 두레가 서지 않는다.

[현황]

현재는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줄이고 일의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농사일의 대부분을 기계화함에 따라 기계모를 심으므로, 들에서 「모심기」를 듣는 것도 점차 힘들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해의 섬인 대부도에서 수집된 「모심기」는 나열형에 속한다. 신길3동의 「모심기」수암동본오동의 중간 지대이면서 훨씬 서쪽에 치우쳐 있는 바, 나열형에 가까우나, 셋까지 세는 점은 열소리형의 영향이 조금 미치고 있는 양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