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955
한자 安東芝村宗宅
영어음역 Jichon Jongtaek
영어의미역 Head Residence of Gim Banggeol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지례예술촌길 390]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8월 5일연표보기 - 안동 지촌종택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7년 5월 15일연표보기 - 안동 지촌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8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 지촌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성격 고가
양식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663년(현종 4)연표보기
정면칸수 5칸(정침)|4칸(방앗간)|3칸(곡간)|4칸(대문간)|3칸(사당)
측면칸수 5칸(정침)|1칸(방앗간)|1칸(곡간)|1칸(대문간)|2칸(사당)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지례예술촌길 390] 지례예술촌지도보기
소유자 김구직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지례예술촌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개설]

안동 지촌종택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가옥으로, 원래 안동 지촌종택이 있던 지례마을은 예로부터 도원향(桃園鄕)이라 불릴 만큼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이었다. 입향조는 조선 중기 때 대사헌을 지낸 김방걸로 도연(陶淵)에 은거한 아버지 표은(瓢隱) 김시온(金是榲)을 문안하러 자주 왕래하다가 도연 상류에 자리한 지례마을에 터전을 잡게 되었다.

김방걸은 당쟁의 소용돌이를 피해 향리로 돌아와 칩거하였는데, 이때 칠언절구의 시를 남겨 심회를 나타내고 거처하는 방을 ‘무언재(無言齋)’라 이름 지었다. 무언재는 현재 안동 지촌종택의 사랑채 이름으로 김방걸이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창강(滄江)에 한번 누운 지 세월 오래되었는데/ 유거(幽居)에 티끌 하나 침입하지 못 하네/ 낚시질하노라고 도로 일이 많아졌고/ 금기(琴碁) 또한 마음 교란(攪亂)함을 깨쳤네/ 석탑(石榻)은 그냥 두니 바람 불어 쓰러져 가고/ 매단(梅壇)을 내다보니 새[鳥] 와서 노래하네/ 지금에 경영하든 일은 모두 성략(생略)하고/ 말 없이 종일(終日)토록 푸른 산(山)만 대하네(一臥滄江世月深 幽居不受點塵侵 已知漁釣還多事 更覺琴碁亦攪心 石榻任他風過掃 梅壇輪與鳥來吟 如今全省經營力 終日無言對壁岑)’

[위치]

안동 지촌종택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번지[지례예술촌길 390] 지례예술촌 내에 있다. 지례예술촌은 경상북도 안동에서 영덕 방면으로 국도 34호선을 따라가다가 약 20㎞ 정도에서 도로 우측의 수곡교(水谷橋)를 건너서 동남쪽으로 13㎞ 더 가면 나온다.

[변천]

안동 지촌종택은 1663년(현종 4) 건립되었다. 집을 지은 후 60년마다 수리를 하였는데, 외당(外堂) 대청은 1930년 화재로 소실되어 재건하였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으나 1989년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지촌제청·지산서당과 함께 마을 뒷산인 현재 위치로 이건하여 지례예술촌으로 조성되었다.

[형태]

안동 지촌종택은 ‘ㅁ’자형의 정침과 방앗간, 별묘, 곡간, 사당, 대문간 등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정침은 정면 5칸, 측면 5칸 크기로 평면이 ‘ㅁ’자형을 이룬다. ‘ㅁ’자형의 전면에 사랑마루와 작은사랑마루가 외각으로 돌출된 날개집으로, 안쪽에는 내당이, 바깥에는 외당이 자리 잡고 있다.

내당은 자연석 기단 위에 3칸 대청을 가운데 두고 그 좌측에 1칸 크기의 안사랑방을 꾸몄으며, 이에 연접하여 앞쪽에 도장방을 배치하였다. 대청의 우측에는 1칸 크기의 부엌을 꾸몄는데 원래는 도장방이었다고 한다. 부엌 앞에는 연접하여 반 칸 크기의 안방을 두었다.

외당은 중문을 중심으로 좌측에 2칸통으로 큰사랑을 두고, 그 옆에는 2칸 크기의 사랑마루를 두었으며, 사랑마루 뒤에는 1칸 크기의 책방을 두어 학문을 중시하는 반가(班家)의 면모를 보여 준다. 큰 사랑채 앞에는 쪽마루를 설치하여 청판에 풍혈(風穴)이 있는 계자각(鷄子脚) 난간을 둘렀다. 중문 우측의 작은 사랑채는 1930년 화재를 입어 곧바로 원형대로 복구하였는데, 2칸통으로 작은사랑을 두고 전면과 측면에 툇마루를 설치한 구조이다.

정침 우측에 있는 방앗간은 정면 4칸, 측면 1칸의 ‘ㅡ’자형 맞배지붕집으로 우측 2칸은 디딜방앗간이며, 나머지는 2칸은 닭장과 화장실로 쓰였다. 그러나 이건되면서 디딜방앗간은 헛간이 되고, 나머지 2칸은 광으로 사용하며, 우측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화장실을 만들었다.

작은 사랑채의 전방 우측에는 예전에 별묘(別廟)로 사용되었던 건물이 자리 잡고 있는데, 정면 2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집으로 내부에는 별묘로 사용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전면의 처마 아래에는 ‘하남(河南)’이라는 현판이 게판되어 있는데,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의 친필이다. 정침의 전방 좌측에 자리 잡은 곡간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ㅡ’자형 홑집으로, 내부를 통간으로 틔웠으며 현재는 식당으로 쓰고 있다.

정침의 전면에 정면 4칸, 측면 1칸의 대문간이 자리 잡고 있고, 서쪽 협문(夾門)을 나서면 정침의 좌측 뒤편 언덕에 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집으로 내부에는 4대의 신주를 봉안하고 있다.

[현황]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호로 지정되었다. 2017년 5월 15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김구직이다.

[의의와 평가]

안동 지촌종택은 경상북도 안동 지역 상류 가옥의 여러 요소들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