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양 1리 대암산의 화전놀이에 대한 이야기. 대암산의 이름이 유래된 내력과 그곳에서 벌어졌던 화전놀이가 어떤 사회적 의미를 지녔는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전설이다.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대암산의 화전놀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의성 문화 관광’ 홈페이지에도 소개되어 있다. 대암산은 경상북도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 1리에 있는 먹못 이름의 유래에 대해 전해오는 이야기. 먹못의 지명 유래 전설로, 불륜을 저지른 남녀의 목을 잘라 던져서 목못이라 하기도 하고, 먹물이 흘러내려 먹못이라 한다는 것이다. 인륜을 저버린 남녀가 죽음으로 벌을 받는 것을 통해 인과응보의 윤리를 강조하려는 뜻도 담겨 있다.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먹못」이...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전해오는 선산 김씨(善山金氏), 순천 장씨(順天張氏), 우봉 이씨(牛峰李氏)가 하나의 묘역을 이룬 사연에 대한 이야기.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는 선산 김씨, 순천 장씨, 우봉 이씨가 하나의 묘역을 이루고 있는데 그 내력을 설명해주는 지역 전설이다. 사회가 급변하고 가족 간의 인정이 갈수록 각박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그런 정을 그리워하는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서 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술 이야기」는 술의 기원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일반적으로 술의 기원은 효자가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세 명의 사람을 죽여 그 무덤가에서 밀이 생겼고, 그것을 가져와 술을 담았다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곡물의 기원을 이야기해주는 설화를 하이누벨레형이라 한다. 「술 이야기」에서는 술을 먹은 후의 변화된 모습...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있던 오메기 듬벙의 명칭 유래 이야기.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있던 오메기 듬벙의 명칭이 유래하게 된 내력을 알려주는 자연물 명칭 전설이다. 듬벙에서 머리가 다섯 달린 메기가 나왔다고 해서 오메기 듬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오메기 듬벙」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의성 문화 관광...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개천 저수지는 봉양리에 있는 1종 저수지이다. 1530년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에는 비안 현감 이변(李忭)이 시축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순조 때에 현인복(玄仁福)과 홍병도(洪秉道), 고종 때에 남정린(南廷麟) 등 역대의 비안 현감과 1913년에는 강기덕(姜基德) 등이 오랜 세월에 황폐된 개천 저수지를 크게 중수하였다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교촌 체험 마을은 안계면 교촌리 350번지에 위치한 구 교촌 초등학교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시설로서, 이용객들에게 농촌에 대해 알 수 있고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촌리는 안계면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06㎢이고 남북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도 28호선과 이어지는 군도 1...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비안 향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향교 마을, 즉 교촌이라 불리게 되었다. 원래의 향교가 비안읍에 있었을 때에는 이 마을도 안정동에 속하여 있었고 1597년 조선 선조 때 비안 향교가 이곳으로 옮겨짐에 따라 향교 마을이라 칭하였다 한다. 자연 마을로는 새마을[건넛 마을], 선돌, 관어대가 있다. 새마을은 1940년 새로 조성된 마을이라 붙여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각석. 교촌리 관어대 각석은 자연 암벽에 새겨진 각자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비안현(比安縣)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늦어도 1530년 이전에 새겨진 것으로 확인되나, 각자를 한 경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산42에 있다. 교촌리의 선돌 마을 남쪽 위천 강변에서 500m가량 내...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는 교촌 마을 입구에 위치한 당집에서 2년마다 한번씩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교촌리 당집은 교촌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 주소로는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353-1이다.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동제의 연원은 과거 한 선비가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교촌리 선돌은 안계면사무소에서 남동쪽 안계길을 따라 1㎞ 정도 가면 토매 삼거리가 나온다. 토매 삼거리에서 국도 28호선[서부로]을 따라 비안면 방향으로 3㎞ 정도 가면 교촌리가 있다. 교촌리 선돌은 교촌리의 선돌 마을 도로 왼쪽에 자리하고 있다. 교촌리 선돌의 재질은 화강암이고, 전체 형태는 직사각 기둥이나 정면에서 볼 때...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경성(金慶聲)[1879~1943]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 출신으로, 김중탁(金重槖)이라는 다른 이름도 전한다. 1919년 3월 24일 김천군 개령면에서 일어난 3·1 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김경성은 1919년 10월경 개인 재산을 처분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조성하였으며, 서간도 지역에 설립된 신흥 무관 학교에 입학하기를 희...
-
고려 후기 의성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정백(定伯). 안정 나씨(安定 羅氏)의 시조이다. 아들은 나직경(羅直卿)이다. 나천서(羅天瑞)는 생몰년 미상이다. 고려말 공민왕은 요동 수복을 위해 동녕부 정벌을 단행하였다. 1369년(공민왕 18) 12월 이성계(李成桂)를 동북면 원수(東北面 元帥), 지룡수(池龍壽)를 서북면 원수(西北面 元帥)로 삼아 군사 1만 5000명...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고도동 일부와 덕동을 병합하였는데 두 마을이름 "도"자와 "덕"자를 취하여 "도덕동"이라 하였다. 자연부락으로 고도전(高道田) 혹은 고두밭은 북쪽으로는 높은 고도산이 있으며 마을의 앞에는 화두산(花頭山)이 있는 산협이라 밭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왔던 이유로 고도밭[高道田] 혹은 고두전(高頭田)으로 불렸다 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유적.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고분 떼로 크게 2개 군으로 나뉘어져 분포한다. 1군은 상덕 마을 북동쪽 구릉 일대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자락에 해당한다. 김상규(金商奎)의 묘 주위에 10여 기의 봉토분이 분포한다. 2군은 상덕 마을 남쪽에 위치하는 중덕 마을 동쪽 구릉 일대로 산자락에 민묘들과 섞여 있으며, 약...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재실. 고려 말의 충신인 백암(白巖) 김제(金濟)와 김세정(金世貞) 등 4대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선산 김씨의 재실 건축이다. 안계 성당 앞을 지나는 국도 28호선을 따라 농어촌 공사 방향으로 약 500m 쯤 가면 있는 용기 사거리에서 국도 912호선으로 우회전하여 안사면사무소로 방향으로 약 3㎞에 위치한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덕동 마을 건너...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신라 시대 유물 산포지. 도덕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 804전에 있다. 의성 IC에서 서쪽으로 국도 28호선을 따라 18.5㎞ 가면 안계면 면소재지에 이르고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안사면 쪽으로 3.8㎞ 가면 안계면 도덕리 상덕 마을에 이른다. 이곳은 안계 평야의 동남쪽 가장자리를 둘러싼 산악 지대의 초입에 위치한다...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만녕(朴萬寧)[1898~1967]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출신으로, 비안면에 있는 비안 공립 보통학교(比安公立普通學校) 학생으로 상급 학생으로 급장(級長)이던 우희원(禹熙元)·박기근(朴基根)[혹 朴望牙]·정인성(鄭寅成) 등과 함께 3월 9일부터 3·1 운동 독립 만세 시위 계획을 세웠다. 이들은 서울·평양·대구 등지의 독립 만세 운동...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석정동·주양동·장성동·고도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봉양동이라 하였다. 또한 봉화재가 위치해 있다고 해서 봉양동이라고도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석정·묵동·장선·술못안 등이 있다. 석정(石井)은 1480년(성종 11) 정경우(鄭景佑)가 다인에서 이 마을로 옮겨와 정착하여 살다가 식수가 없어 헤매던 중 어느 산 밑...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유적. 봉양리 고분 떼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 650-3임 일대에 있다. 안계면사무소에서 안계길을 따라 토매 삼거리 방향으로 700m 정도 가면 안계 석물 공장이 나온다. 안계 석물 공장 옆으로 난 도로[봉양길]를 따라 2.4㎞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삼거리에서 동쪽 방향[개천지길]으로 200m 정도 가면 오른쪽...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 유적. 봉양리 대암산 봉수터 유적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 산77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봉양리 산성터 유적에 포함된 높이 221.8m의 산봉우리에 해당한다. 지역 주민들은 이곳을 봉성산 혹은 봉화산이라고도 부르며, 봉양리 산성터를 동서로 관통하는 고갯길을 봉우재 또는 봉화재라 부른다. 『경상도지리지』를 비롯한 조선 시대 여...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근대 이후 비석 떼. 봉양리 비석 떼는 모두 개천지[개천 저수지]와 관련된 것으로 당시로서는 최고 최대의 수리 시설을 축조 보수한 것을 기념하여 수령의 공덕을 영세에 잊지 않기 위해 세운 기념비이다. 특히 개천제 중축 기념비는 중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서 의미가 크다. 4기의 비석이 가지런히 서 있는 개천제는 순조 때 비안 현감 현인복과 고종...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산성 유적. 봉양리 산성터 유적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 하고개 마을 동쪽에 있는 높이 229.5m의 대암산과 그 북쪽으로 연결된 높이 207m의 봉우리를 감싸며 남북으로 길게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식 석축 산성이다. 마을 사람들은 대암산을 봉성산 혹은 봉화산이라고도 부르며, 산성을 동서로 관통하는 고갯길을 봉우재 또는 봉화재라 부른다...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성혈을 새겨 놓은 바위. 성혈암은 바위에 구멍을 낸 것으로, 바위에 그림을 새긴 것과 마찬가지로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사람들의 염원을 담은 유적이다. 생성 연대 역시 바위그림이나 고인돌 축조 시기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봉양리 성혈암 1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 산77에 있다. 안계면사무소에서 남동쪽 안계길을 따라 1㎞ 정도 가면 토...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성혈을 새겨놓은 바위. 봉양리 성혈암 2은 안계면사무소에서 안계길을 따라 토매 삼거리 방향으로 700m 정도 가면 안계 석물 공장이 나온다. 안계 석물 공장 옆으로 난 봉양길을 따라 1㎞ 정도 가면 위양 1리에 위치한 자오사가 있다. 봉양리 성혈암 2는 자오사의 요사(寮舍) 배수로 암반 위에 자리하고 있다. 봉양리 성혈암 2은 5개의 성혈(性穴...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 유물 산포지. 봉양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 252-2답에 있다. 의성 IC에서 서쪽으로 지방도 28호선을 따라 18.5㎞ 이동하면 안계면소재지에 이르고, 면소재지에서 동쪽으로 1.5㎞ 가면 봉양 1리 석정 마을이 있는데, 그 북쪽 논과 논둑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유적의 서쪽 지역에는 위천이 낙동강 쪽으로...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국립 교육 기관. 비안 향교(比安鄕校)는 비안현(比安縣)과 안정현(安貞縣)의 유생들이 머물면서 수학한 중등 교육 기관이다. 동시에 문묘가 설치된 제향의 공간이자 향청·서원과 더불어 향촌 자치 기구의 하나로 활용되었다. 조선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화길 65-14[교촌리...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사제 저수지는 시안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인근에는 전국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교촌 농촌 녹색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사제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53년 1월 6일에 인·허가를 받았으며, 1954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55년 12월 30일에 준공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성균관 유도회 산하 비안 지역 지부.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 기관이었던 성균관은 한일합병 이후 일제에 의해 경학원(經學院)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8·15 해방과 함께 옛 이름을 되찾고, 10월 성균관 명륜당에 유림 2,500여 명이 모여 공자의 유교를 근간으로 국민의 윤리 도의 정신을 함양한다는 목적으로 유도회를 설립하였다. 의성 지역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세레 저수지는 물이 세 곳에서 유입된다는 뜻에서 세레못으로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곤지봉(坤池峰)[327.8m]에서 발원한 소하천에 제방을 축조한 저수지이며, 국도 28호선을 따라 저수지로 들어오다 보면 전국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교촌 녹색 농촌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세레 저수지는 농업용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정 폭력 상담소. 천주교 안동 교구 사회 복지회에서 설립한 쉼터 한알 가정 폭력 상담소는 방황하는 청소년, 미혼모, 가출소녀, 매 맞는 여성, 가족 상담, 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나눔의 터전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쉼터 한알 가정 폭력 상담소는 2001년 기부금 3000만 원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아파트에 전세 계약을 함으로써...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시동, 안계동, 태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시동과 안계동의 이름을 따서 시안동[시안리]이라 하였다. 안계는 1660년 가락왕 6세손 김사일이 통훈대부(通訓大夫) 중구원참의(中柩院參義)로 있을 때 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는데, 당시 들이 넓고 산수가 수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감곡, 시곡, 감나무골,...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신당 저수지는 용기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유서 깊은 곤지봉(坤池峰)[327.8m] 아래 경관이 아름답고 못 인근에 있는 전국적인 인지도가 있는 교촌 녹색 농촌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신당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38년 1월 5일에 인·허가를 받았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정직하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올바른 학생 문화 정착, 지·덕·체의 전인교육 실시, 미래 사회의 적응력 신장, 사제동행 풍토 조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과 창조’ 이다. 1946년 9월 27일에 안계 초급 중학교로 설립 인가 후 초대 교장에 이정섭이 부임하였다. 1946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안계 교회는 1936년 6월 15일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818번지에 66㎡ 규모의 양철 지붕으로 된 예배당을 설립하고 첫 예배를 보았다. 1944년 일제의 탄압으로 성경을 전부 몰수당하고 예배당이 폐쇄되었다가 광복 이후 예배를 재개하였다. 1951년 7월 사택을 설립하였으며, 1955년 8월 교회 건물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의성군은 2007년 보건 복지부의 “고령 친화 모델 사업 시범 지역”에 선정됨에 따라 보건 복지 의료 통합 서비스 기반을 구축해 새로운 노인 복지 모델을 제시하려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138-1 일원에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을 조성하여 허브 센터로 삼고 17개 면을 생활...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안계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28일 안계 농업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병원. 안계 병원은 2009년 정신과 병원 사업을 위해 설립하였다. 안계 병원은 정신과 및 가정 의학과 병원으로 각종 정신 질환자 및 알코올 중독자, 우울증 등 정신과 관련된 모든 질환을 치료하는 기관이다. 2003년 2월 의료 법인 안심 의료 재단을 설립하였고, 2009년 12월 안계 병원을 설립하였다. 의성 지역의 주민을 위한 정신 질환과...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1959년 4월 1일 예천 본당 안계 공소로 인가되면서 예배소로서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1961년에는 다인 본당으로 소속이 이전되었다가, 1972년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안덕화[베드로]가 초대 신부로 부임해 왔다. 1980년 성전을 완성하였으며, 1992년에 기공한 사제관과 교육관이 1997년에 완공되고 이때 어린...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한 번,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의성 군립 안계 도서관에서 주관하는 주부 독서모임. 안계 주부 독서회는 2005년에 의성 군립 안계 도서관에서 창립하였으며, 독서의 생활화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 여가를 선용하고 친목을 도모하며 자신은 물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주부상을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안계 주부 독서회는 매월 정기적인 독서 토론을 한다. 또한 매년 1회 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남을 사랑하고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도덕인], 소질과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실력인], 사고력과 탐구력이 풍부한 사람을 기른다[탐구인], 세계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른다[세계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학, 협동, 창조’ 이다. 1946년 9월 27일 안계 초급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토매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을 지키는 바른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인], 슬기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인], 아름다움을 가꾸는 어린이[심미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 튼튼하게 자라며 슬기롭게 배우자’ 이다. 1921년 안계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2...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동면(縣東面)의 운곡동(雲谷洞)을 합하여 의성군 안계면으로 개칭하였다. 안계라는 명칭은 면내 서북쪽에 있던 안계역(安溪驛)과 안계원(安溪院)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초기까지는 안정현(安定縣)의 땅이었는데 세종 때부터 비안현(比安縣)의 관할이 되었다. 안동면과 안서면의 2개의 면으로 되어 있었는데, 1914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안계면은 경상북도 북부 지방의 곡창 지대로 널려 알려진 지역이다. 들이 넓어 고대부터 촌락이 발달하였다. 면소재지에는 시장이 발달되었고, 서남쪽으로 위천을 끼고 광활한 안계 평야가 곡창을 이루며, 의성군 서부 6개 면의 생활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촌리·도덕리·봉양리·시안리·안정리·양곡리·용기리·...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안계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안계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안계면사무소는 의성군 안계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계면은 의성군의 서부 중심 지역에 위치하는데 신라, 고려, 조선 초기까지는 안정현(安定縣) 지역이었는데, 세종 때부터 비안(...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에 봉성동, 대지동, 고현동을 병합하여 안정동[안정동]이라 하였다. 안정(安定)이라는 마을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1479년(성종 10)에 판돈녕부사 안중선(安仲善)이 관직을 버리고 정착하였다고 하여 안정이라 칭하였다고 하는 설과, 다른 한 가지는 신라 문무왕 때 나구열(羅龜烈)이라는 농부가 마...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안정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유적. 안정리 고분 떼는 안계면 안정리 대지 마을 북동쪽 해발 100m 내외의 능선 상에 위치한다. 이곳은 마을 동쪽에 위치한 해망산(海望山)의 서쪽 자락으로 마을 주위에 작은 골짜기와 구릉이 있는 다소 산간 오지에 고분 떼가 자리 잡고 있다. 안계면 안정리 고분 떼는 정식 발굴된 적은 없다. 1987년 대구 대학교 박물관에서...
-
고려 초에서 1421년까지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안정현은 원래 신라의 아시혜현(阿尸兮縣)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경덕왕 때 아시혜현을 안현현(安賢縣)으로 고치고, 문소군의 영현으로 삼았다고 한다. 『고려사』 지리지 안정현(安定縣)조에 따르면 고려 초에 안현현을 안정현으로 변경하였다고 하는데, 여기에서의 ‘고려 초’는 대체로 940...
-
757년부터 고려 초까지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안현현(安賢縣)은 원래 신라의 아시혜현(阿尸兮縣)이었다. 아시혜현은 아을혜(阿乙兮)라고도 불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경덕왕 때 아시혜현을 안현현으로 고치고, 문소군의 영현으로 삼았다고 한다. 안현현의 명칭 변경은 757년에 한화 정책의 일환으로 고유 지명과 관직명을 모두 중국식으로 고치는 과정...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주변의 송곡동과 태양동, 시동의 일부와 현동면의 운곡동, 용강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태양동의 ‘양’자와 송곡의 ‘곡’자를 따서 양곡이라 하였다. 태양(太陽)은 1359년 고려의 유신인 강릉 김씨 김사민(金俟民)이 남하하여 마을을 이루면서 붙인 명칭이며, 송곡(松谷)은 솔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연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다 안계면 소재지를 막 벗어나면서 우측으로 행복 웨딩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하면 시안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옛날 옛적에 연저수지 자리에는 민가가 있었으며, 그 집에서는 옥동자를 분만하였는데 태어난 아이는 그...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전문 의료 기관. 영남 제일 병원은 의료 시설이 충분하지 못한 의성 지역에서 지역 의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항상 믿고 찾을 수 있는 병원’이라는 경영 이념 아래 지역의 전문화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제 의료 재단의 의료 기관이다. 영남 제일 병원은 2000년 8월 1일에 설립하여 2007...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용제와 장기의 이름을 따서 용기동이라 하였다. 안계 시장의 동북쪽으로 구릉을 넘어서는 곳에서 고려 고종 때 박가검이란 선비가 용이 승천(昇天)하는 것을 보고 그 곳을 팠더니 물이 솟았다 하여 용샘[龍泉]이라 하고, 이 지역을 용기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자연 마을 새장선은 일제 강점기에 장선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용재 마을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유적.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위치한다. 고분 떼는 용기리 용재 마을에서 동쪽으로 450m, 신당 저수지의 북서쪽 50m 지점의 완만한 구릉에 위치한다. 안계면 용기리 고분 떼가 정식 발굴된 적은 없다. 1987년 대구 대학교 박물관에서 의성군 일대 정밀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5년 역시 대구 대학교 중앙 박...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조선 시대 분묘. 안계면 용기리 용재 마을 동쪽 구릉에 조영되어 있는 용기리 고분 떼와 같은 능선에 해당하며 분묘는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다, 안계면 풍산 김씨 분묘가 정식 발굴된 적은 없다. 1987년 대구 대학교 박물관에서 의성군 일대 정밀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5년 역시 대구 대학교 중앙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건축물. 용기리 전매국 안계 영업소는 1940년대에 지은 대구 지방 전매국 안계 영업소 건물로 사무실, 창고, 사택 3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용기리 전매국 안계 영업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 6길 65[용기리 1057]에 있다. 안계 중학교 뒤쪽의 용기 6길에서 지방도 912호선으로 약 350m 정도 가다 보면 길가 우측...
-
개항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재현(在見). 호는 육봉(六峰). 우용택(禹龍澤)[1868~1940]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출신으로, 한말 일제의 침략 행위를 규탄하고 친일 매국노를 직접 찾아가 그들의 매국 행위를 질타한 강개지사(慷慨之士)로 당시 널리 알려졌던 인물이다. 고종은 그의 의로운 행실을 듣고 참봉(參奉)을 제수하기도 하였다. 우용택...
-
조선 전기 의성에 입향한 관료.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성즉(聖則), 호는 만수재(晩修齋). 고려 말 유학자 역동(易東) 우탁(禹倬)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참봉 우즙(禹楫)이고, 할머니는 예천 임씨(醴泉 林氏)이고, 아버지는 전연사(典涓司) 참봉 우수평(禹水平)이고, 어머니는 진사 홍계원(洪啓元)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고, 부인은 참봉 정정상(丁政祥)의 딸 의성 정씨(...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위천이 마을의 남쪽에 있다는 뜻으로 위양동이라 칭하였다. 자연 마을 당평은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앞 개울에 당나라 장수가 심은 당수라는 나무가 있어서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고, 마을 앞 개울가에 지당(池塘)이 있고 넓은 평야가 있어서 지당과 평원에서 한글자씩을 취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강촌은 조선...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에 있는 조선 시대~근대 비석 떼. 위양리 비석군의 건립 경위는 비석 외에는 현전하는 자료가 없어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비석을 통해 건립된 시점만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비의 건립 연대는 우선 ① 서상경 영세 불망비는 1902년에, ② 김상현 청덕 불망비는 1891년에, ③ 이학년 청덕 선정비는 1675년에, ④ 차능문 청덕 선정비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에 위치한 원골 마을은 마을 입구의 팽나무에서 매년 정월 열 나흗날 자정이 되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낸다. 원골 마을의 당목은 위양리 240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입구의 첫 번째 팽나무이다. 당목 옆에는 입석이 있다. 위양리 원골 마을 동제는 약 3...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 돌고개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위양리에서 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위양천은 위양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으로 안계면 도덕리 돌고개에서 발원하여 봉양리의 개천 저수지를 지나 위양리에 이르고, 다시 남서쪽으로 흐르다가 위천과 합류한다. 3개의 3차수 하천이 합쳐져 4차수 하천을 이루며, 본류에 해당되는 4차수 하천의 구간은 3.4㎞ 정도이다. 개천 저...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연날리기 대회. 의성 마늘 국제 연날리기 대회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천 둔치 일원에서 매년 개최되는데, ‘의성 산수유 꽃 축제’ 기간 중에 동시에 진행된다. 전국 연날리기 대회와 국제 연날리기 대회로 나뉘어 진행되며, 2012년에 제2회가 개최되었다. 의성군청과 매일신문사가 주최하고 의성 국제 연날리기 대회 조직 위원회가 주관, 경상북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의성 군립 도서관은 의성 군민의 정보 이용, 독서 진흥, 문화 활동, 평생 교육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9년 8월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470 부지에 착공하여 2000년 7월 준공하였다. 2001년 3월 운영 조례 제1938호가 제정되었고, 6월 개관하였다. 2005년 3월 도서관 3층에 30여 명을 수용할 수 있...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안계 평야에서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농경 문화 축제. 의성 지역 쌀의 우수성과 농경 문화의 역사를 알리고, 의성 지역 쌀 홍보 및 판매를 유도하기 위해 의성군청에서 주최하고 의성 쌀 문화 축제 추진위원회가 주관하여 매년 10월에 개최하고 있는 농경 문화 축제이다. 의성군청은 우리나라 수리 관개 농업 초기의 대표적인 저수지인 대제지(大堤地)가 있었던...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서 설립된 농민 조합. 의성 안계 적색 농민 조합은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을 펼치면서 조직한 농민 조합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1년 당시에 지주와 소작 농민 사이의 소작 관계는 지주에게 유리하였다. 의성 안계 적색 농민 조합은 이러한 불합리한 관계를 바꾸어 농민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농민 운동의 일환으로 결성되었다.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의...
-
조선 전기 비안현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문중(汶中), 호는 신재(愼齋). 진주 판관(晉州 判官) 장일신(張日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숙(張叔)이고, 아버지는 효자로 정려된 찰방(察訪) 장문서(張文瑞)이다. 장운(張運)[1535~1605]은 지금의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효우가 출중하여 여러 사람들의 모범이 되었다고 하며, 법도를 세...
-
조선 전기 비안현의 영일 정씨 입향조이자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대유(大有), 호는 후엄(帿嚴). 할아버지는 정안손(鄭安孫)이고, 아버지는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의 명현(名賢)이요 학유(學諭)를 지낸 정휘(鄭輝)이다. 세 형제 중 장남으로, 둘째 정창우(鄭昌祐)는 생원이고, 셋째 정연우(鄭延祐)는 부장(部將)을 지냈다. 정경우(鄭景祐)[?~?]은 경상도 예천군 다인현[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토구동(土邱洞)과 가매동(加梅洞, 佳梅洞) 일부를 병합하여 토매동(土每洞)이라 하였다. 토구(土邱)는 1684년(숙종 10)에 이단하(李端夏)라는 선비가 관직을 사직하고 팔도를 유람하던 중에 이 마을에 들려 구릉이 좋고 흙의 질이 좋다 하여 이름 붙였다는 설과 마을의 흙이 황토 점토질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토매리에 있는 신라 시대 유물 산포지. 토매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토매리 66-5와 토매리 산2에 있다. 의성 IC에서 서쪽으로 지방도 28호선을 따라 18.5㎞ 가면 안계면 소재지가 나오는데, 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900m정도 떨어진 토매 3리 가매골과 안가매골 사이에 있는 구릉의 동쪽과 서쪽 양사면에 토매리 유물 산포지가 위치한다. 유...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한국 농어촌 공사 경북 지역 본부 산하 지사. 한국 농어촌 공사 경북 지역 본부 의성·군위 지사는 경상북도 의성군과 군위군 지역의 농·어촌 정비 사업, 농업 기반 시설 관리 및 농·어촌 지역 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8년 2월 9일 의성군 비안면 동부리에 비안 수리 조합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1년 12월 13일 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한동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에서 안사 방면으로 800m 가면 정안교가 있다. 정안교를 건너 우회전하여 아스팔트길로 900m 가면 시안 교회가 나오며, 교회에서 200m 가면 저수지 제방을 지나 좌측 산길로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