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성현이 논산의 관촉사를 방문하고 감회를 읊은 한시. 성현(成俔, 1439~1504)의 문집인 『허백당시집(虛白堂詩集)』2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의 유명한 시인인 성현이 관촉동에 있는 관촉사 미륵불에 대한 세상 속설의 허구성과 옛 영화의 실상을 읊은 시이다. 길가에 오래 된 절이 있어(路傍有古刹) 웅장한 언덕을 넘어가니(超超跨雄岡) 뜰 가운데 여섯 길이나 되는 몸이(...
-
고려 후기 문신 이색이 논산의 관촉사를 소재로 지은 한시. 「관촉사」는 이색(李穡, 1328~1396)의 시문집인 『목은고(牧隱藁)』권24에 실려 있다. 마읍(馬邑) 동쪽 백여 리(馬邑之東百餘里) 시진(은진의 옛 이름) 고을 관촉사네(市津縣中灌足寺) 큰 석상 미륵불은(有大石像彌勒尊) ‘내가 나온다. 내가 나온다.’ 하고 땅에서 솟아났단다(我出我出湧從地) 눈같이 흰 빛으로 우뚝이 큰...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보냇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표진강은 양촌, 반야산 앞을 지나 논산·강경을 안고 돌아 금강과 합류하여 서해 바다로 들어간다. 예전에는 그 강을 가로질러 반야산 우측 마을 거북실에서 오약골 넉바위까지 380칸의 긴 돌다리가 놓여 있었다. 이 다리는 전라도에서 한양으로 가는 유...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쇳골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무장 이여송(李如松)이 우리나라를 돕기 위해 군사를 이끌고 들어왔다. 그는 도와주는 척하면서 한편으로는 조선에 큰 인물이 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 산의 혈을 끊고 다녔다. 이여송은 이처럼 산맥을 끊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니...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숙향이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2001년 10월 29일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김용복(남, 61)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구전설화』 14권에 수록하였다. 백제 때에 지금의 은진미륵불이 있는 마을에 숙향이란 처녀가 살았다. 숙향은 표진강 가에서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오순도순 살았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어머니가 죽...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은진미륵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은진미륵 설화」는 박종익이 민속원에서 펴낸 『구전설화』14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시대 북쪽 오랑캐의 침략이 빈번할 무렵, 오랑캐가 고려를 정복하고자 다시 압록강을 건너려 하였다. 그러나 압록강의 깊이를 알지 못하였던 적장은 강 앞에서 머뭇거렸다. 때마침 한 중이 오더니 바지를 무릎까지 걷어 올리고는 압록강을 폴...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서 치마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논산문화원에서 간행한 『놀뫼의 전설』에 실려 있다. 관촉동 반야산 근처에 김대감과 이대감이 살았다. 두 사람은 자주 만나 자연을 감상하고 시도 지으며 지냈다. 어느 때 두 사람의 부인이 동시에 임신을 하였다. 두 사람은 태어날 자녀가 성별이 다르면 혼인시키자고 언약하였다. 열 달이 지나 이대감 집에서는...
-
고려시대에는 각 지역에 걸쳐 투박하지만 거대한 불상들이 많이 조성되었다.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시대에 성행한 거대 불상을 대표하면서 동시에 현존 국내 최대의 고려시대 미륵보살상이다. 고려 전기인 968년(광종 19)에 제작된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경기·충청 일대에서 특징적으로 조성되었던 토착성이 강한 불상으로, 새로운 지방적 미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고려...
-
충청남도 논산시 취암동에 속하는 법정동. 반야산 기슭에 관촉사가 있어서 관촉 또는 관촉리라 하였다. 본래 은진군(恩津郡) 화지산면(花枝山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죽암리(竹岩里)·주천리(注川里)의 각 일부와 송산면(松山面) 와야리(瓦也里)의 각 일부, 연산군(連山郡) 적사곡면(赤寺谷面) 평리(坪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관촉리라 하여 논산군 논산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관촉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반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큰 불상 중의 하나인 은진미륵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석조미륵보살입상과 같은 시기에 지어졌다고 전하는 목조 건축물은 남아 있지 않다. 전형적인 산지가람으로 본래의 사역은 현재보다 더 넓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관촉사 사적비는 관촉사의 상징인 은진미륵 및 정문과 법당의 조성 경위를 밝히고 있는 사적비로서, 1743년(영조 19) 승려 각혜와 속인으로 구성된 불량계원(佛粮契員) 다수가 참여하여 세운 비이다. 관촉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인 마곡사의 말사로 963년(광종 19) 혜명(慧明)이 창건하였다. 관촉사 사적비는 화강암으로 변이...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 전기 석조물. 불단은 숭배 대상인 불(佛)·보살(菩薩) 등을 모시기 위해 불당 안에 설치하는 높은 단을 말한다.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석단(石壇)·토단(土壇)·목단(木壇) 등이 있고, 모양에 따라 방단(方壇)·8각단(八角壇)·원단(圓壇) 등이 있다. 관촉사 석조불단은 지대석, 면석, 갑석 등 가구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석은 7개의 판...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관촉사 석탑은 관촉사 내 관촉사 석등(보물 제232호)과 관촉사 배례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3호)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층 기단은 하대갑석 상면에 조출(造出)된 2단의 중석받침 위에 있다. 상대중석의 각 모퉁이에는 우주(隅柱)가 조각되어 있고, 우주와 우주 사이에는 1개의 탱주(撐柱)가 모각(模刻)되어 있다. 상대중석의...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서 초파일이나 큰 법회 행사 때 탑을 돌며 부처의 공덕을 기리고 소원을 비는 행사. 탑돌이는 초파일에 승려가 신도들을 인도하여 탑을 돌며 부처의 공덕과 개인의 소원을 비는 불교 행사이다. 논산시 관촉동의 관촉사에서도 초파일과 방생을 할 때 탑돌이를 함께 행한다. 관촉사 석탑은 오층석탑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탑의 높이는 약 4.5m이며,...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물. 배례석은 일반적으로 사찰의 탑이나 불상 앞에 있는데, 예배 때 예를 올리거나 의식집행, 혹은 의식에 사용되는 향로나 촛대 등의 용구를 놓기 위해 조성한 석조물이다. 관촉사 배례석은 관촉사 석등에서 동쪽으로 약 10m 정도 떨어진 화단에 있는데, 뒷면에 관촉사 오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관촉사 배례석은 장방형으로 상면에 연화문이...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물. 관촉사 석문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이를 고증할 만한 기록이나 고고학적 자료가 없다. 석문의 경우 특히 다른 사찰에서 예를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비교 자료 또한 없는 실정이다. 관촉사가 조성된 이후 참배객들이 몰려드는 것을 막기 위해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을 달고 담을 둘렀다고 하는데, 관촉사 석문은 동...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김기범과 김재준 부자의 정려. 김기범의 호는 석계이다. 광산김씨로 아버지는 김재준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이 드시고 싶다는 음식은 반드시 구해 드리고, 어머님이 병으로 앞을 보지 못하게 되자 아침저녁으로 직접 음식을 떠 드리면서 봉양하였다. 김기범의 부친 김재준의 자는 사영, 호는 춘당이다. 김재준은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김재준의 처...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 전기 석조물. 석등은 백제 시대 이후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사찰 경내에 조성된 석조물이다. 교리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이 융합되어 주로 사찰의 중심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논산 관촉사 석등은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및 관촉사 앞뜰을 밝히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논산 관촉사 석등은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앞에 있는 5.4...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관촉사 사적비에 따르면, 968년(광종 19)에 사제촌의 여자가 반야산 서북쪽 모퉁이에서 고사리를 채취하고 있는데, 홀연 동자의 울음소리가 들렸다. 이상하게 생각하고 가보니 큰 돌이 땅 속에서 솟아나오고 있었다. 괴이한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집으로 돌아와 사위에게 말하니, 사위가 곧 현감에...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보건 의료 기관. 논산시 보건소는 질병 예방 활동, 예방 접종, 보건 민원 처리와 진료, 방문 보건 등의 사업 수행을 통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1년 5월 29일 논산군 보건소로 문을 열었다. 1964년 5월 3일 논산시 취암동 555-7번지에 청사를 준공하여 입주하였다. 2009년 9월 관촉동 현재 위치로 청사를 이전하...
-
일제강점기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안명옥은 참판 안사묵(安思黙)의 장손으로 출생하였으며, 1886년에 선공감 감역을 지냈다. 1910년 일제로부터 한일합방에 대한 회유책으로 노인은사금(老人恩賜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송병준과 김지수가 각각 영동과 연산에서 이를 거절하고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은진향교에서 일본의 악행과 을사오적의 매국행위를 규탄하며 자신도 단식 자결하려고 하였...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안홍록(安弘祿)이다. 1629년(인조 7) 사마시에 합격하여 벼슬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뜻을 추호도 어김이 없었으며 도학이 높았다. 당시 유림과 은진현감·연산현감이 안신길의 효행을 조정에 알렸고, 조정에서는 효행을 표창하고 이조참판에 추증하였다. 논산시 지산동에 효행비가 있다...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은진 관촉리 비로자나석불입상은 높이 340㎝의 화강석으로 만든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이다. 낮은 육계(肉髻)를 지닌 머리는 윤곽이 뚜렷하며, 귀가 어깨까지 내려와 있다. 얼굴은 둥그렇고 풍만한 모습을 지녔는데, 이마의 정중앙에는 백호공이 선각되어 있고, 눈썹을 선명하게 음각으로 표현하였으며, 그 아래 은행알 형태의 눈을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