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637 |
---|---|
한자 | 月裡寺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염티소전로 55-100[문덕리 5]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박보람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657년 - 청주 월리사 대웅전 건립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8년 5월 18일![]() |
현 소재지 | 월리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염티소전로 55-100[문덕리 5]![]() |
성격 | 사찰 |
창건자 | 의상 |
전화 | 043-221-7600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덕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의 말사.
월리사(月裡寺)는 사찰의 전승에 따르면 통일 신라 시대 해동화엄종의 초조인 의상(義相)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1665년(현종 6) 세운 월리사 사적비에 따르면 ‘월리사(月裡寺)’라는 사찰의 이름은 높은 곳에 자리하여 달에 가깝기 때문에 월리사라 하였다고 하며, 또는 절 아래의 월동사(月洞寺)에서 이름이 연유하였다고도 한다.
월리사 사적비에 따르면 청주 월리사 대웅전[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은 1657년(효종 8) 명현당(明玄堂) 원학대사(元學大師)가 이웃에 있던 신흥사(新興寺)를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 처마 끝에 장식된 암막새기와에 ‘옹정경술(雍正庚戊)’이라는 양각 글자가 있어 1730년(영조 6) 한 차례 중수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호서승람』, 『여지도서』, 『호서읍지』 등 조선 후기 지방지에서 존재가 확인되고 있어 적어도 조선 후기에는 사찰이 운영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월리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1988년 5월 28일 전통사찰 10호로 등록되었다. 2023년 8월 현재 주지는 원철이다.
월리사에는 청주 월리사 대웅전과 삼성각·요사채가 남아 있다. 청주 월리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에 다포 건물이다. 청주 월리사 대웅전 안에는 항마촉지인의 석가여래좌상[높이 90㎝]과 신중탱화(神衆幀畵)[1838년 제작], 후불탱화(後佛幀畵)[1897년 제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