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493 |
---|---|
한자 | 金允洙 |
영어공식명칭 | Gim Yunsoo |
이칭/별칭 | 학일(學一),붕재(臟齋)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한애라 |
출생 시기/일시 | 1867년 3월 29일![]() |
---|---|
몰년 시기/일시 | 1944년 11월 8일![]() |
출생지 | 김윤수 출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 |
활동지 | 김윤수 활동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
묘소 | 김윤수 묘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광산 |
개항기 충청북도 청주 지역 출신의 학자.
김윤수(金允洙)[1867~1944]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학일(學一), 호는 붕재(臟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재성(金在聖)이고, 할아버지는 김상현(金商鉉)이다. 아버지는 김영록(金永錄)이고, 어머니는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다. 아들은 김용구(金容龜)이다.
김윤수는 1867년(고종 4) 3월 29일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에서 태어나 전우(田愚)[1841~192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일제 강점기까지 고향인 미원면에 머물며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였고, 1944년 11월 8일 사망하였다.
김윤수의 저술로는 문집인 『붕재집(臟齋集)』 필사본 1권이 전한다.
김윤수의 묘소는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基岩里)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