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3399 |
---|---|
한자 | 李光庭 |
영어공식명칭 | I Gwangjeong |
이칭/별칭 | 덕휘(德輝),해고(海皐),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백주희 |
출생 시기/일시 | 1552년![]() |
---|---|
몰년 시기/일시 | 1629년![]() |
추모 시기/일시 | 1930년 - 이강영당 건립 |
묘소|단소 | 이광정 묘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뇌조리 |
사당|배향지 | 이강영당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연안 |
대표 관직 | 이조판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에 있는 이강영당에 영정이 봉안된 조선 후기의 문신.
이광정(李光庭)[1552~1629]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덕휘(德輝), 호는 해고(海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직제학 이말(李𡊉)이고, 할아버지는 군수 이경종(李慶宗)이다. 아버지는 사간원정언 이주(李澍)이고, 어머니는 유사필(柳師弼)의 딸이다.
이광정은 1552년(명종 7)에 태어났다. 1573년(선조 6)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1590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 승문원정자가 되었고, 1592년 세자시강원설서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세자를 수행하여 피난하였다. 이후 사간원정언·예조좌랑·병조좌랑을 역임하였다.
이광정은 1595년 좌승지 재임 시 반역의 옥사(獄事)를 처리한 공로로 가선대부에 오르고 성균관대사성에 제수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접반사로서 명나라 부사 심유경(沈惟敬)을 만나고 호조참판에 임명되어 군량을 관장하였다. 1602년 이조판서·사헌부대사헌을 역임하고 가을에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책봉을 받기 위하여 명나라에 다녀온 뒤 판돈녕부사및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이광정은 1604년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에 녹훈되고 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에 책봉되었다. 1621년(광해군 13) 호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1626년(인조 4)에 개성유수로 부임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호종하여 강화도로 피난하였다가 1629년 강화도에서 사망하였다.
이광정의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뇌조리에 있다.
1930년 연안 이씨 후손들이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에 이강영당(理江影堂)을 건립하여 이광정과 이만원(李萬元)의 영정을 봉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