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차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010
한자 寒食茶禮
영어음역 Hansik Charye
영어의미역 Tea Offering at the Cold Food Day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임동철

[정의]

동지(冬至) 후 105일째 되는 한식일(寒食日)에 지내는 제사.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한식일은 대개 음력 3월에 들기도 하나 대개 2월에 든다. 이 날은 조상의 묘에 과일과 떡 등을 차려 놓고 ‘한식차례(寒食茶禮)’를 지내며, 조상의 무덤이 헐었으면 잔디를 다시 입히는데 이것을 ‘개사초(改莎草)’라고 한다

[절차]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文化洞)송시열(宋時烈) 종가에서는 사당을 모시고 있는데, 그 곳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차례는 삭망다례(朔望茶禮), 사절차례(四節茶禮), 천신차례(薦新茶禮) 등 세 종류를 올린다. 삭망다례는 매월 1일과 15일에 지내는 것이며, 사절차례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에 올리는 것이며, 천신차례는 대보름, 삼짇날, 유두, 칠석, 중양절, 동지, 납향에 올리는 것을 말한다. 차례를 올리기 전날에는 항상 사당 주변을 정비한다.

삭망다례는 1일의 삭차례(朔茶禮)와 15일의 망다례(望茶禮)로 나눌 수 있다. 삭차례는 주독보(主櫝褓)를 열고 개독(開櫝)하여 출주(出主: 神主를 主櫝에서 내모시는 것)하지만, 망다례는 출주를 하지 않고, 개독만 하고 올린다. 사당은 종손만이 열 수 있으며, 문을 열 때는 재배를 하며, 여자가 들어갈 때에는 사배를 한다.

제물은 조(棗), 율(栗), 시(柿), 이(梨), 목과, 유과를 짝수로 놓고, 전(갈랍, 누림이), 수육을 진설한 다음에 주독보를 열고 개독하여 출주한다. 그러나 망다례는 출주하지 않는다. 다음 당내(堂內)를 깨끗이 하기 위해서 종손이 분향(焚香), 모사(茅沙)하여 강신(降神)하고, 일동재배(一同再拜)하여 참신(參神)한다. 종손이 술병을 들고 헌작한 다음에 정저(正箸)한다.

메와 탕이 없기 때문에 시(匙)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어 15분 정도 사당 안에 서 있으며 유식(侑食)하고, 낙저(落箸)한 다음 일동재배하여 사신(辭神)한다. 신주를 모시고 독을 덮고 퇴찬(退饌)한다. 그리고 나와서 음복을 한다.

[상차림]

사절차례는 편을 쓰기 때문에 메와 탕을 제물로 쓴다. 설날에는 떡국, 한식에는 진달래 화전과 쑥절편, 추석에는 송편을 쓴다. 이 때에는 수저를 함께 쓰며 제순(祭順)은 삭망다례와 같다. 이 때는 묘제(墓祭)도 함께 지내는데, 그 대상은 고조 이하로서 설날과 단오에는 주(酒), 과(果), 포(脯), 혜(醢)를 진설하고 축문은 없이 단헌(單獻)이다.

그러나 한식과 추석의 묘제(墓祭)에는 메와 편을 더 사용한다. 그리고 고축(告祝)하고 헌작(獻酌)도 삼헌(三獻)을 올린다. 묘제가 끝나면 종손이 주, 과, 포, 생자(生炙:날고기)를 차리고 헌작과 고축으로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제가 끝나면 묘제의 제물을 퇴찬하고 음복을 한다. 이 때 제물의 반 정도는 일꾼들에게 나누어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