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245
영어음역 Pansu
영어의미역 Fortune Teller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영진

[정의]

점을 치는 맹인.

[명칭유래]

판수의 어원은 ‘운수(運數)를 판단(判斷)해 준다’는 ‘판수(判數)’에서 온 말이라고 하나, 알타이어(Altai語)에서 남자무당을 가리키는 ‘paksi’에서 분화된 순수한 우리말이다.

[변천]

예로부터 맹인들이 생계 수단으로 점을 치는 것은 직업으로 하였는데, 우리나라 맹인의 점은 중국에서도 용하다고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맹승(盲僧)으로 불리는 삭발한 맹인이 점은 물론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어주었으며, 더욱이 조선시대 천문, 지리, 역수, 점산, 측후를 담당하던 관상감(觀象監)에 맹인으로 나라의 길흉을 점치는 명과맹(命課盲)까지 두었다.

특히 구호기관인 명통시(明通寺)에 거주하는 맹인들이 초하루와 보름에 임금과 나라를 위하여 독경(讀經)을 하고 축수(祝壽)를 하였는데, 이 명통시가 폐지되면서 많은 맹인들이 민간에서 독경과 문복(問卜)으로 생활을 하니 민간에서 점을 치거나 경을 읽어 재앙을 쫓고 복을 빌어주는 맹인을 모두 ‘판수’라 불렀으며 또 한자로는 눈 먼 남자무당이라 하여 ‘맹격(盲覡)’이라 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맹인이 아니면서 무경(巫經)을 읽으며 앉은굿을 하는 ‘경객(經客)’이 등장되면서 판수는 주로 점을 치는 것을 주업으로 삼게 되었다.

1950대까지 청주의 판수는 주로 점을 쳤는데, 일반적으로 산통(算筒)을 흔들어 산가지(算木)를 꺼내어 점괘를 풀어주는 산점(算占)을 쳤다.

[현황]

한국전쟁 이후 갑자기 맹인이 아니면서 점을 직업으로 하는 속칭 ‘점쟁이’가 크게 출현하면서 점치던 판수는 거의 사라지고 최근에는 중앙공원(中央公園)에서 한 두 사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손진태(孫晉泰), 「맹격고(盲覡考)」(『조선민족문화의 연구(朝鮮民族文化의 硏究)』, 을유문화사, 1948)
  • 김영진(金榮振), 「‘판수’고」(『민속어문논총(民俗語文論叢)』,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