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익산(益山)이며, 상서좌복야 한림학사 승지 이주(李湊)의 아들이다.
[활동사항]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사록이 되고, 상서도사로 직사관을 겸하였으며, 뒤에 지홍주사(知洪州使)가 되었다. 원종(元宗) 때 삼별초의 난이 일어나자 포로가 되어 반란군의 선법(選法)을 맡았다가 김방경(金方慶)에게 붙잡혔으나 김방경의 아버지 이인의 제자였다 하여 죽음을 면하였다.
그 후 청주목사가 되어 수기치인과 청렴결백함으로 칭송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