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0990
한자 植物
영어음역 sikmul
영어의미역 plant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김성식

[정의]

충청북도 청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

[개설]

청주시 전역을 청원군이 둘러싸고 있는 가운데 동쪽에는 상당산(上黨山)[419m]과 선도산이 자리하고 서쪽으로는 부모산이 솟아있으며, 시가지와 연접한 동쪽으로는 청주의 상징인 우암산(牛岩山)[338m]이 자리하고 있고, 시가지 중심으로는 도시하천인 무심천(無心川)이 흐르고 있다.

청주시의 식물상은 우암산(牛岩山)[338m]의 식물상과 무심천(無心川)의 식물상이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우암산(牛岩山)[338m]의 식물상은 460종이며 무심천(無心川)의 식물상은 육상식물 157종, 수생식물 40종 등 197종이 분포하고 있다.

특이 사항으로는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산 30-2 화장사 절 뒤쪽에 장미과의 낙엽성 관목인 가침박달이 군락형태로 자생하고 있으며, 우암산(牛岩山)[338m] 동남사면의 능선쪽으로는 일명 춘란이라고 불리는 보춘화가 자생하고 있다.

[우암산의 식물상]

우암산(牛岩山)[338m]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은 3문(門) 89과(科) 277속(屬) 401종(種) 1아종(亞種) 55변종(變種) 3품종(品種)으로 총 460종류이다.

양치식물은 9종, 나자식물은 8종, 피자식물은 443종이다.

충청북도 내에 분포하는 전체식물 종수인 1,480종의 약 31%가 우암산(牛岩山)[338m]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도시 인근에 위치한 산 치고는 다양성이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한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전체의 13.0%인 60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벼과 44종(9.6%), 콩과 27종(5.9%), 장미과 23종(5.0%)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국화과의 주요 종으로는 떡쑥, 금불초, 솜나물, 단풍취, 쑥부쟁이, 머위, 곰취, 톱풀, 구절초, 가막사리, 삽주, 엉겅퀴, 민들레, 조밥나물, 씀바귀, 왕고들빼기, 방가지똥, 뽀리뱅이, 고들빼기, 이고들빼기 등이 자라고 있다.

벼과의 주요 식물로는 조릿대, 뚝새풀, 흰겨이삭, 개피, 실새풀, 향모, 개밀, 참새귀리, 포아풀, 나도겨풀, 갈대, 진퍼리새, 참새그령, 그령, 각시그령, 비노리, 대새풀, 잔디, 새, 수크령, 강아지풀, 바랭이, 돌피, 참억새, 물억새, 조개풀, 띠, 쇠풀, 솔새 등이 분포하고 있다.

콩과 식물로는 자귀나무, 차풀, 고삼, 풀싸리, 참싸리, 싸리, 비수리, 매듭풀, 자귀풀, 나비나물, 새팥, 칡, 돌콩, 족제비싸리, 활나물 등이 자라고 있고, 장미과 식물로는 가침박달, 쉬땅나무, 조팝나무, 국수나무, 뱀딸기, 곰딸기, 산딸기, 멍석딸기, 오이풀, 짚신나물, 찔레꽃, 산벚나무, 산사, 산돌배, 팥배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기타 주요 식물로는 속새과의 쇠뜨기, 고비과의 고비, 고사리과의 황고사리, 잔고사리, 고사리, 면마과의 관중, 뱀고사리, 개고사리, 소나무과의 일본잎갈나무, 전나무, 잣나무,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 노간주나무, 백합과의 각시원추리, 산달래, 달래, 산마늘, 하늘말나리, 털중나리, 방울비짜루, 둥글레, 애기나리, 은방울꽃, 맥문동, 선밀나물, 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민청가시덩굴, 수선화과의 상사화, 마과의 참마, 마, 붓꽃과의 각시붓꽃, 타래붓꽃, 붓꽃, 난초과의 천마, 금난초, 타래난초, 보춘화, 버드나무과의 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왕버들, 갯버들, 가래나무과의 굴피나무, 자작나무과의 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사방오리, 서어나무, 개암나무, 물개암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우암산(牛岩山)[338m]의 귀화식물 종수는 총 29종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인근 지역인 미원(충청북도 청원군 관내) 13종, 증평(충청북도 증평군 관내) 12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우암산(牛岩山)[338m]에 귀화식물이 많이 분포한다는 것은 우암산(牛岩山)[338m]이 청주시 바로 인근에 위치한 산으로서 이곳을 찾는 시민들의 왕래가 많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입증해 주고 있다.

우암산(牛岩山)[338m]의 주요 귀화식물로는 아카시아나무, 미국미역취, 미국자리공, 토끼풀, 붉은토끼풀, 망초, 개망초, 서양톱풀, 돼지풀,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을 들 수 있다..

[무심천의 육상식물상]

무심천(無心川)의 육상식물은 총 157종이 분포하고 있다. 지점별로는 중하류 지역인 청주시 흥덕구 방서동 방서교 부근에 76종이 자생하고 있어 가장 많은 종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인간간섭이 전혀 없는 것보다 적당한 인간간섭이 이뤄질 때 식물종수가 많아지는 경향과 일치한다. 방서교 위쪽, 즉 상류지역으로 갈수록 종수가 서서히 줄어 60~70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부근에는 56종이 분포하고 있어 인간간섭이 적당량을 넘어 많아짐으로써 종류수가 적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최하류인 미호천(美湖川)과 만나는 지점에서는 68종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 곳은 수생식물은 빈약한 반면 외래종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에 분포하는 외래식물로는 미국자리공, 부레옥잠, 유홍초, 붉은토끼풀, 어저귀, 돼지풀 등이다.

무심천(無心川) 지역에는 총 20여종의 외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분포하는 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달맞이꽃, 돼지풀,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망초 등이다. 유역별 도시화의 정도에 따라 외래식물의 분포 종수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 유역에서 6~8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다.

무심천(無心川) 유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과는 벼과로 전체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국화과 12%, 콩과 10%, 장미과 9%의 순을 나타내고 있다.

벼과의 주요 식물로는 물피, 갯쇠돌피, 줄, 갈대, 비노리, 왕바랭이, 잔디, 수크령, 피, 억새, 솔새, 겨풀, 달뿌리풀, 큰고랭이, 삿갓사초, 도루박이, 세모고랭이, 방동사니, 세대가리, 방동사니대가리, 알방동사니, 하늘지기, 반하, 개구리밥, 종개구리밥, 닭의장풀, 사마귀풀, 물옥잠, 물달개비, 부레옥잠, 골풀, 원추리, 무릇, 마, 노랑꽃창포, 갯버들, 뽕나무, 개모시풀 등이 자라고 있다.

국화과의 주요 식물로는 쑥, 비쑥, 쑥부쟁이, 뚱딴지, 산국, 지느러미엉겅퀴, 도깨비바늘, 뽀리뱅이, 방가지똥 등이 분포하고 있고, 콩과로는 비수리, 자귀풀, 매듭풀, 동부, 칡 등이 분포하고, 장미과로는 멍석딸기, 찔레꽃, 조팝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무심천의 수생 식물상]

무심천(無心川)의 수생식물은 총 40종이 분포한다. 지점별로는 청주시 흥덕구 방서동 방서교 부근과 운천동 부근에 14종이 분포하는데 이는 도시 내에 위치하고 하상의 교란이 심하여 수생식물 종수가 빈약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청원군과의 경계지역에 이르는 중류지역에 21종의 비교적 많은 수생식물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하상의 교란이 이뤄지지 않은 자연형 하천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류지역에서는 16종이 확인되고 있다.

무심천(無心川)에서 가장 우점하는 수생식물은 부들, 흑삼릉, 물억새, 골풀, 갈대, 달뿌리풀, 줄, 세모고랭이, 미나리 등 9종의 추수식물이다. 특히 물억새와 갈대는 하류부터 상류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식물이 오염된 지역에서도 잘 적응하는 추수식물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타 주요 식물로는 물쇠뜨기, 애기부들, 가는가래, 대가래, 말즘, 나자스말, 질경이택사, 보풀, 벗풀, 검정말, 줄, 겨풀, 큰고랭이, 도루박이, 개구리밥, 사마귀풀, 고마리, 미꾸리낚시, 붕어마름, 오성붕어마름, 논냉이, 개갓냉이, 마름, 마디꽃, 새마디꽃, 이삭물수세미, 물수세미, 개발나물, 논뚝외풀, 주름잎, 큰물칭개나물, 수염마름, 뚜껑덩굴 등이 분포하고 있다.

[우암산의 식생]

우암산(牛岩山)[338m]에서 관찰되는 비교적 큰 식물군락은 소나무 군락, 상수리 군락, 졸참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일본잎갈나무 군락, 아카시아나무 군락, 리기다소나무 군락, 잣나무 군락, 물오리나무 군락 등이 있다.

이외에 소규모 군락으로는 산벚나무 군락, 가중나무 군락, 자작나무 군락 등이 있다.

이중 상수리나무 군락은 우암산(牛岩山)[338m] 식생을 대표하는 군락으로 대부분 저지대의 능선부분에 위치하며, 아까시나무, 산초나무,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조팝나무 등이 하위종으로 분포하고 초본층에는 닭의장풀, 큰기름새, 댕댕이덩굴 등이 자라고 있다.

신갈나무 군락은 우암산(牛岩山)[338m]의 동북 경사면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으나 가슴높이의 둘레가 낮은 개체들이 많다. 사람에 의한 훼손이나 영향이 없을 경우 이 군락은 앞으로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소나무군락은 비교적 건조하고 척박한 능선,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 군락 하층부에는 졸참나무, 굴참나무, 진달래, 개옻나무, 싸리나무, 억새 등의 어린 개체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아카시아나무 군락과 물오리나무 군락, 은사시나무 군락, 리기다소나무 군락, 일본잎갈나무 군락 등은 인공으로 식재한 군락들이다.

[무심천의 식생]

무심천(無心川) 하상에는 갈대 군락, 고마리 군락, 부들 군락, 달뿌리풀 군락, 미나리 군락, 줄 군락, 여뀌 군락 등 주로 정수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무심천(無心川) 둔치에는 쑥 군락, 환삼덩굴 군락, 물억새 군락, 개망초 군락, 물봉선 군락, 미국가막사리 군락, 강아지풀 군락, 돼지풀 군락, 그령 군락 등이 분포한다.

무심천(無心川) 둔치에는 또 목본 군락으로 아카시아나무 군락, 국수나무 군락, 사위질빵 군락, 갯버들 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다.

수생식물 가운데 침수식물인 대가래 군락, 말즘 군락, 검정말 군락, 물수세미 군락, 붕어마름 군락과 부엽식물 군락인 마름 군락은 상류와 중류, 하류의 일부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고 도심부위에는 거의 분포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수생식물은 물이 정체된 지역과 비교적 하천바닥이 안정된 지역에 나타나는데 하상준설이 이뤄져 서식처가 파괴되면 생육하기가 어렵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