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935 |
---|---|
한자 | 粉坪洞立石 |
영어음역 | Bunpyeong-dong Ipseok |
영어의미역 | Bunpyeongdong Menhir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289-14![]()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융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위치한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 곳 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끝이 뾰족한 형태인 것은 ‘남성’, 둥글거나 판판한 것은 ‘여성’으로 보고 있다.
선돌 앞쪽의 들은 ‘선돌모퉁이들’이라 불리워지고 있어 입석의 존재를 암시하여 주고 있는데, 이 선돌을 ‘선돌멩이’라 부르며, 선돌이 서 있는 거리를 ‘선돌멩이거리’라 부른다.
충북고등학교에서 청주우회도로를 따라 충북대학교 방향으로 조금 오다보면 분평주유소가 있고, 그 옆으로 산·미·분·장동사무소로 들어가는 길이 있는데, 선돌은 주유소 옆 갈림길의 새뜸마을 어귀에 해당된다.
선돌의 전체 모습은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의 폭의 넓은 세모꼴 형태를 취하고 있어 남성선돌로 분류되며, 둘레를 돌아가며 손질하였다. 크기는 161x86x25㎝이고 암질은 화강암이며 N-20o-W방향으로 서 있다.
현재 선돌은 본래 위치에서 길을 포장 과정에 약간 옆으로 이동되었으며, 밑부분이 시멘트로 발라져 있다. 이 선돌은 사람들이 특별히 위하지는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