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250 |
---|---|
한자 | 卞榥 |
영어음역 | Byeon Hwa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민식 |
조선 후기의 문신.
문과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당상관에 오른 인물이다.
본관(本貫)은 초계(草溪), 자(字)는 문거(文擧)이다. 청주 출신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변경복(卞景福), 할아버지는 변유인(卞惟寅)[1566~1641년], 아버지는 변시망(卞時望), 삼촌은 변시익(卞時益)이다. 외할아버지는 이득윤(李得胤)이다.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은진송씨(恩津宋氏)로 송국시(宋國蓍)의 딸이고, 숙부인 안동권씨(安東權氏), 숙부인 평택임씨(平澤林氏)는 임우(林堣)의 딸이다.
1652년(효종 3) 증광(增廣) 생원시 2등으로 합격하였고, 165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4인으로 급제하였다. 문과에 합격한 후 승정원(承政院) 부정자(副正字)를 시작으로 한림박사겸춘추관기사관(翰林博士兼春秋館記事官), 1669년 병조좌랑(兵曹佐郞), 1676년 무주부사(戊朱府使), 1685년 안동부사(安東府使)를 거쳐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이르렀다.
8곳의 군수(郡守)를 역임하면서 가는 곳마다 치적이 있었으며 품계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렀다.
기개가 엄정하고 학식이 뛰어나며 청렴정직을 스스로 지키며 세상과 합류하지 않았고 덕(德)을 칭하지 않아 주위의 칭찬을 받았다. 1674년 처음 족보를 간행하고 서문(序文)을 남겼다.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운암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