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272
한자 歷史
영어음역 yeoksa
영어의미역 history
분야 역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양기석

[정의]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충청북도 청주시의 역사.

[선사시대]

선사시대의 청주지역이 어떠한 문화양상을 보이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지금까지 학술조사를 거친 곳이나 지표상의 채집된 유물을 통해 알려진 선사유적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청주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무심천(無心川)과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美湖川) 주변은 대단히 완만한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그 능선들 사이에는 범람원으로 이어지는 넓은 곡저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이곳은 생활하기에 필요한 용수가 편리하고 농경 생활에 적합한 입지 조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삶을 이루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미호천(美湖川)과 그 지류 주변지역에서 확인된 선사시대 이래의 다양한 유적들이 이를 입증해 준다.

흥덕구 개신동상당구 명암동, 봉명동1지구, 율량동 등지에서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고, 신석기시대 유적으로는 청주 상당산성 남문 앞과 흥덕구 향정동, 상당구 봉명동 등지에서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한 다양한 석기들이 출토되어 미호천(美湖川) 주변 지역 뿐 아니라 내륙 깊숙한 지역에까지 신석기인 들이 살았음이 확인되었다.

청주지역 인근에 펼쳐진 낮은 구릉에는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흥덕구 내곡동, 향정동, 송절동, 봉명2지구와 봉명4지구·가경동 3·4지구, 상당구 용암동 등에서 청동기인 들의 삶의 터전인 집터가 발굴 조사되었다. 비하동유적에서는 세형동검을 비롯하여 검은간그릇, 덧띠토기가 출토되어 금강유역을 중심한 초기 한국식 동검문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고대]

청주지역은 삼한 중 마한의 한 소국이 자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세기경 북쪽으로부터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는 토착의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새로이 철기문화를 받아들여 토착적인 정치세력이 대두하였다.

청주지역에서 마한과 관련한 중요한 유적은 송절동의 대규모 토광묘군이다. 이 유적은 마한의 무덤 양식인 무덤 주위에 홈을 파서 돌린 주구토광묘와 서북한지역의 낙랑문화와 관련 이 있는 합장묘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청주지역에는 3세기경까지 낙랑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토착의 세력집단이 성장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주와 그 주변 지역인 청원 상평리와 송대리, 진천 송두리, 천안의 청당동 등의 유적을 통해 볼 때 당시 마한의 중심세력인 목지국이 대체로 천안을 중심한 중서부지역일 것으로 추정된다. 차츰 고구려계 유이민들에 의해 한강유역에서 건국된 백제가 마한의 세력을 공략하면서 충청지역에 미치게 되자 청주의 토착세력들은 백제 세력권에 들게 되었다.

이를 입증해 주는 유적이 송절동유적을 비롯한 청주 정북동 토성, 봉명동 등이 있다. 이때의 청주지역의 재지세력들은 백제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가운데 거의 반독자적인 세력으로 남아 자치적이고 전통적인 지배권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4세기 중엽 이후 청주지역은 백제의 영역에 통합되어 나갔는데 이를 입증해 주는 유적이 청주 신봉동 고분군이다. 이 유적은 기본적으로 전통을 고수·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유물의 양상에 있어서 차츰 철기류가 많아지고 마구가 등장하며 백제적인 양식을 띤 토기류들이 많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산자락 아래쪽에는 소형의 토광묘들이 분포하고 그 위로 중대형의 토광목곽묘가, 그리고 산 정상부에는 횡혈식석실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토착사회의 지배자들이 백제의 세력권에 편입이 되면서 백제의 중요한 한 구성원이 되었음을 반영해준다. 그리고 청주지역 최고 수장층인 석실분의 주인공은 이제 백제의 지방관으로 변모하면서 청주지역을 지배하게 된 것이다. 이는 청주지역의 백제 영역화를 의미하며 백제의 지방지배방식의 변화를 뜻하는 것이다.

이 시기 백제는 청주지역을 지배하기 위해 상당현(上黨縣)을 설치하였다. 당시 청주지역은 중부 내륙교통로상의 거점지역으로서 이를 통해 영남이나 호남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 군사적으로 중요시되는 요충이었다. 따라서 청주를 포함한 충청북도지역은 삼국간의 세력 각축장이 되었다.

청주 정북동 토성, 우암산토성, 부모산성등의 여러 산성들이 백제시대 청주지역의 역사를 간직한 중요한 유적으로 손꼽히고 있다.

백제에 이어서 청주지역에 진출한 나라는 신라였다. 6세기 중엽 청주지역은 충북지방에서 마지막 보루로 남아 있다가 신라 진흥왕대 이후 신라의 비약적 발전이라는 대세 속에서 신라에 의해 병합되었다. 청주 인근에 있는 신라계 유적인 청원 문의 미천리 고분군과 진천 교성리 고분군 등이 이를 입증해준다.

7세기 후엽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청주지역에 정치적 문화적으로 비중있는 서원소경을 설치하고, 신문왕 5년(689)에는 서원소경성을 쌓아 미호천(美湖川) 유역의 통치거점을 마련하였다. 서원소경은 5소경의 하나로서 금강유역의 옛 백제지역에 대한 감시와 통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지역이라는 점이 고려된 것 같다.

서원경성은 왕도 금성을 축쇄한 도시구획이 획정되어 있었으며, 평지의 서원소경성과 동쪽에 인접한 우암산성, 그리고 배후의 보다 높은 위치의 상당산성이 배치되어 있어 그 중심부가 방어도시의 성격을 가진 우리나라 전통적인 고대 도시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경덕왕 18년(759)에는 서원경으로 개칭하였다.

이 시기 봉명동·명암동·용담동·금천동 등지에서 발굴 조사된 통일신라시대의 무덤과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를 비롯하여 운천동 출토 동종, 용암사 비로자나불, 성화동 금동불상, 탑동 석탑 등 불교 유물들이 남아 있어 당시의 문화상을 엿볼 수 있다. 일본의 정창원에서 발견된「신라촌락문서」서원경과 부근 마을의 사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사회경제를 연구하는데 중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고려시대]

후삼국시대에 들어와서 청주지역은 태봉과 후백제의 경계지역으로서 또 한 차례 중요 쟁패지역이 되기도 하였다. 청주지역은 일찍부터 궁예세력의 요람이었고 청주인들이 궁예(弓裔) 정권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청주 호족들은 처음에 궁예의 세력기반이었지만 점차 이를 이은 왕건(王建)의 세력이 커지자 분열되었다.

그리하여 청주 호족들은 크게 친궁예 세력과 친왕건 세력으로 분열 대립하였는데 고려의 건국과정에서 친궁예세력이 크게 반발하여 마군장군 환선길의 반란 등과 같은 몇 차례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후 청주세력은 점차 고려 정부에 흡수되거나 토착향리층으로 변화하여 더 이상 고려의 중앙정부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할 수 없었다.

고려 광종 때 설치한 「용두사지철당간기(龍頭寺址鐵幢竿記)」(국보 제41호)에 의하면 김(金), 손(孫), 경(慶), 한(韓) 등 10여 명의 시주자 명단이 새겨져 있다. 이들은 당시 청주지역의 유력한 성씨세력으로 보이는데, 고려초기의 청주지역은 이들 토성세력이 연합하여 지배하던 호족연합적인 지배체제를 유지한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에 들어와서 청주지역은 여러 차례 행정구역의 개편을 보게 된다. 940년(태조 23)에 지금의 이름인 청주로 고쳤고, 이어 983년(성종 2) 전국의 주요 거점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그곳을 다스리는 지방관을 파견하였을 때 청주목은 그 중 하나였다.

청주목의 설치로 반독립적인 호족세력이 담당하던 지방행정을 이때부터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에 의해 지방행정의 통제와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995년에는 12목이 폐지되고 10개 도로 나누어 12주를 설치하게 되자 청주는 중원도에 속한 전절군(全節軍)이라는 절도사가 파견되어 다스리는 지역이 되었다. 1012년(현종 3)에는 절도사를 폐지하여 안무사(按撫使)를 두었다가 1018년 전국에 8목을 다시 설치할 때 청주는 그중 하나였다.

고려 후기 무신집권기에는 청주 출신 경대승(慶大升)정중부 일당을 제거하고 한때 권력을 장악한 일이 있었다. 그 후 청주지역은 인쇄문화의 메카로 부상하게 되었다. 1377년(우왕 3) 7월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본으로 인쇄한『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약칭 『직지(直指)』)을 간행한 것이다.

현재 하권만 전래되어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임을 공인받았으며 2001년 9월 4일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지금은 흥덕사지(興德寺址)를 부분적으로 복원하였고 절터 옆에는 이를 기리기 위해 청주고인쇄박물관을 건립하여 교육의 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조선시대]

조선건국 초 청주지역은 이성계(李成桂)에게 우호적이었던 경복흥(慶復興)과 개국 1등공신이었던 종청(鄭摠), 정탁(鄭擢)[1363~1423], 한상경(韓尙敬) 등을 배출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우대를 받았다. 그리하여 1393년(태조 2) 11월 각동의 계수관(界首官)을 정할 때 청주는 양광도 계수관의 하나가 되었다.

태종대에 들어와서 1408년(태종 8) 감사가 목사를 겸하는 감사겸목제(監司兼牧制)를 시행하였을 때 청주는 도관찰사가 머무는 본영이 되어 충청도에서는 으뜸가는 지역이 되었다. 이후 청주에는 충청감사가 목사를 겸하였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정3품의 목사, 종5품의 판관, 종6품의 교수가 각각 1인을 두어 다스렸다.

세종 때 당시의 읍세에 대하여『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를 통해 살펴보기로 하자. 당시 청주의 인구는 1,589호에 6,738명이었고, 토성으로는 한, 이(李), 김, 곽(郭), 손, 경, 송(宋), 고(高), 준(俊), 양(楊), 동방(東方), 정(鄭)의 12개 성씨가 유명하였다. 토지는 18,193결인데 논은 그 1/3 정도에 불과하며, 토산물은 오곡과 조, 녹두, 팥, 호마, 뽕나무, 배 등이고 둘레 1,084보의 석성이 있으며 역은 율봉, 쌍수, 저산, 장명의 4개 역이 있었다고 한다.

세조 때에는 감사겸목제를 페지하고 지방의 행정체계와 군사체계를 하나로 묶어 치안과 국방을 일원화시킨 진관(鎭管)체제가 성립되었다. 1457년(세조 3)에 진관체제를 정비할 때 청주진은 진천, 문의, 회인, 보은, 청산, 황간, 영동, 옥천, 청안을 진(鎭)으로 삼아 이를 통할케 하였다. 이로서 청주는 행정 군사의 중심지로서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청주권 출신세력들이 세조(世祖) 정권의 수립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계유정난을 일으켜(1453) 김종서(金宗瑞)황보인 등을 제거할 때 정난공신 43명 중 청주권 출신세력들이 9명이나 포함되어 있었다. 즉 1등공신에 한확, 한명회(韓明澮)가, 2등공신에 양정, 홍윤성 등이 책록 되었다.

1455년 단종의 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의 즉위를 도운 좌익공신 46명 중 한확, 한명회 등 11명이 포함되었다. 예종 때의 익대공신과 성종 초의 좌리공신에도 청주권 출신세력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특히, 한명회는 정난과 좌익공신의 핵심인물로서 영의정이나 원상(院相) 및 두 왕비의 아버지로서 당대 최고의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었다.

특히 한명회를 포함한 청주한씨(淸州韓氏)는 계유정난에서 성종 초에 이르기까지 한확, 한명회 등 15명이 공신에 책봉되었고, 왕실과 연달아 혼인하여 덕종비 소혜왕후, 예종비 장순왕후와 계비 안순왕후, 성종비 공혜왕후 등 네 왕비를 배출할 정도의 성세를 나타냈다.

청주지역은 외적이 침입하였을 때 의병을 일으켜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충절의 고향이기도 하다. 임진난 때 의병장 조헌(趙憲)[1544~1592]은 영규대사(靈圭大師)[?~1592], 박춘무(朴春茂)[1544~1611] 등과 함께 청주성을 왜군으로부터 탈환한 사례가 있다. 청주성 수복은 일반 사람들은 물론 관군, 의병, 승병 모두가 합심 단결하여 승리로 이끈 값진 결과였으며, 임진난이 일어난 이후 우리의 관군과 의병들이 왜군에게 빼앗긴 읍성을 처음으로 탈환한 전과로서 의미를 갖는다.

조선시대 청주는 충청좌도를 관할하는 지방행정의 중심이었다. 임진란을 전후하여 청주는 서울을 방어하는 군사상의 요충으로 주목되었는데, 충청남도 서산의 해미에서 병영을, 옥천에서 진(鎭)을 옮겨와 청주의 방어력을 강화하였다.

이때부터 청주읍성(淸州邑城) 안에는 목사 혹은 병사가 지휘하는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위치하고 상당산성에는 병마우후가, 율봉역에는 찰방을 두어 역할을 분담하였다. 이러한 교통상·군사상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청주지역의 발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 청주는 지리적 위치가 서울 남쪽과 가깝기 때문에 많은 양반 사대부들이 모여사는 곳이 되면서 ‘양반의 고장’이라고 일컫어지게 되었다. 1766년(영조 41)에 완성된『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청주지역의 총인구는 12,749호였으며, 그 중 남자가 21,181호, 여자가 21,729호였다.

그리고 1789년에 작성된『호구총수』에 따르면 청주지역은 24개면 774개리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인구는 13,558호에 남자 23,274호, 여자 23,772호인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 후기에는 청주지역이 서원을 중심으로 성리학 학통을 이어가는 중심적 위치에 서게 되었다. 청주와 청원지역에 신항서원, 기암서원, 송계서원(松溪書院), 국계서원을 비롯하여 최대의 영향력을 가졌던 화양서원 등이 있어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서원들이 있었다. 이는 당시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김장생(金長生)으로 이어지는 호서사림 계보의 맥을 이은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정치적 영향력을 받아 성세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송시열 이후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이간으로 이어지는 호서지역 중심의 노론으로서 기호학파의 적통임을 내세우는 지역이 된 것이다. 그러나 1728년 청주에서 일어난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진압된 이후 탕평책으로 춘추대의를 명분으로 하여 당론을 주도하던 산림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이 위축되었다. 이리하여 노론은 호서지방 산림세력 중심의 호론(湖論)과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 낙론(洛論)으로 분열되었고 이로 인하여 청주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붕당정치로 인한 당색차별과 지역차별이 생겨나 오히려 청주지역의 발전에 일정한 제약을 주는 일도 생겨났다. 그 한 예가 청주 읍호의 변천과정에 잘 나타나 있다. 1728년 청주에서 일어난 이인좌의 난으로 인하여 한때 서원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청주목으로 복구된 적이 있었고 그 이후 1777년(정조 원년), 1804년(순조 4), 1861년(철종 12)에도 이러한 청주 읍호의 변동을 겪기도 하였다.

이처럼 노비가 주인을 범하거나, 또는 역란이 일어났을 때 청주의 읍격 변동이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근대]

근대에 이르러 청주는 몇차례 행정구역의 변동을 맞게 되었다. 1896년(고종 33) 지방제도의 개편에 따라 청주는 청주군으로 개칭되면서 공주부에 소속되었다. 그에 따라 공주부관찰사가 관할하는 27개 군의 하나로서 청주군에는 군수가 파견되어 다스렸다. 그러나 아관파천 직후 앞서 일본의 압제하에 추진된 개혁에 대한 반발로 옛 제도로의 복귀를 행하였다.

이때 13도의 지방행정체계가 구비되면서 청주는 공주부에서 빠져나와 충주와 함께 충청북도 산하의 1등 군수 관할지역으로 편제되었다. 1908년 6월 15일에 충주에 있던 관찰부를 청주로 이관하였고, 이어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청주군청주면을 비롯한 18개 면 343개리로 개편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청주면청주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해방 직후인 1946년에 청주읍청주부로 승격된 후 1949년 지방자치법 실시에 따라 청주시로 개편되었다. 1952년 4월 25일 초대 자방자치의회의원 선거를 거쳐 5월 5일에는 초대 시군의회를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자로 상당구흥덕구에 2개 구청을 개청하였고 이어 6월 27일 광역단체장선거와 광역의회선거를 비롯하여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치르면서 청주지역은 본격적으로 지방자치의 출범을 보게 되었다.

그 동안 몇 차례의 행정구역 조정과 법정동간의 경계조정 및 행정동 분동 등을 통해 현재 청주시는 2개 구 82개의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1.27 오자 수정 조선 후기에는 청주지역이 서원을 중심으로 성리학 학통을 이어가는 중심적 위치에 서게 되었다. 청주와 청원지역에 신항서원, 기암서원, 송계서원(松溪書院), 국계서원을 비롯하여 최대의 영향력을 가졌던 화양서원 등이 있어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서원들이 있었다. 이는 당시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김장생(金長生)으로 이어지는 호서사림 계보의 맥을 이은 송시열(宋詩烈)의 학문과 정치적 영향력을 받아 성세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 조선 후기에는 청주지역이 서원을 중심으로 성리학 학통을 이어가는 중심적 위치에 서게 되었다. 청주와 청원지역에 신항서원, 기암서원, 송계서원(松溪書院), 국계서원을 비롯하여 최대의 영향력을 가졌던 화양서원 등이 있어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서원들이 있었다. 이는 당시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김장생(金長生)으로 이어지는 호서사림 계보의 맥을 이은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정치적 영향력을 받아 성세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이용자 의견
정** 지진.화재 대피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2011.05.03
정** 우리나라에는 언젠간 지진이 올 수 있습니다. 안심하면 안되요. 2011.05.0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