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보제덕담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677
한자 -洑祭德談-
영어음역 Bojedeokdam Norae
영어의미역 Song of Well-wishers
이칭/별칭 미호천방축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조순현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과 고락동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

[개설]

의식요(儀式謠)는 세시풍속(歲時風俗)이나 통과의례(通過儀禮)에 해당되는 의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세시풍속이나 통과의례에 민요가 등장하는 것은 두 가지 각도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의식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를 실제로 실현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고 믿는 것과, 둘째, 노래는 의식에서 표현하고 싶은 감정을 나타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의식요는 세시명절에 연례적으로 되풀이되는 의식에 불리는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와 통과의례 중 장례의식을 치르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葬禮儀式謠), 불교, 무속, 속신 등의 신앙과 관련되어 불리는 신앙의식요(信仰儀式謠)로 나눌 수 있다.

청주지역에서는 세시의식요로 「보제덕담 노래」, 장례의식요로 「상여노래」와 「달구질노래」, 신앙의식요로 「액풀이노래」가 조사·보고되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보제덕담 노래」흥덕구 강서동(예전 청원군 강서면 지동리 고락동)에서 매년 7월 칠석에 보제(洑祭)를 지내면서 부르던 덕담 노래를 말한다. 미호천(美湖川) 지류에 수축한 보(흔히 ‘부모산보’ 또는 ‘아양산보’라고 부름)의 수문(水門)에 제수를 차리고 동네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제주가 되어 제를 지내며 헌작을 한 다음 제주가 일 년 농사가 잘 되기를 기원하는 덕담을 노래로 부르는 것이다.

[형식]

「보제덕담 노래」는 흔히 들을 수 있는 고사반 노래에 부모산보와 관련된 덕담이 적절히 가미된 사설로 되어 있다.

[내용]

고실고실 고사로다 농사한철 지어보세 / 어떤농사 지었던가 앞들논은 천석지기 / 뒷들논은 만석지기 문앞전장 고래실 / 높은데는 밭을치고 깊은데는 논을쳐서 / 물을풍덩 들여보세 어떤종자 심었던가 / 광모란에 사발벼 안성읍의 양푼벼 / 마당쓸기 검풀벼 산골따래 자체벼 / 혼도며 고양도며 혼자먹는 도야지찰 / 알룩달룩 까투리찰 욕심많다 도야지찰 / 이름좋다 비단찰 여기저기 심었는데 / 일취월장 잘컸구나 보리농사 지어보세 / 갈에갈면 갈보리요 봄에갈면 봄보리 / 뭉글뭉글 중보리 비료한번 움줬더니 / 일취월장 잘컸구나 두태농사 지어보세 / 어떤두태 지었던가 물콩졸콩 주녀니콩 / 방정맞다 콩나물콩 밑으로솟는 호래비콩 / 만리타국 강남콩 수수방아 볏두락 / 여기저기 심었구나 양념농사 지어보세

[의의 및 평가]

「보제덕담 노래」와 매년 모심기 이전 음력 4월에 제방을 수축하면서 부르는 「흙뜨기 노래」(「가래질 노래」)와 「땅다지기 노래」는 1976년 청주에서 열린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미호천방축노래」로 참가한 바 있다.

청주지역에서는 예전에 벼농사 위주의 농업을 주로 해왔기 때문에 농사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를 관리하는 일은 무엇보다도 소중한 일이었다. 「보제덕담 노래」가 잘 전승되어 있어 청주지역 사람들의 생활양식, 사고방식, 신앙 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