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554
한자 淸州慕忠洞石造毘盧遮那佛坐像
영어의미역 Stone Image of the Seated Vairocana Buddha in Cheonghwasa Templ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모충동 산 36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박상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7월 23일연표보기 - 청주 모충동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1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청주 모충동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높이 90㎝
소장처 청화사
소유자 청화사
관리자 청화사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모충동에 있는 불상.

[개설]

청주 모충동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서 불신과 광배 및 대좌가 한 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높이 120㎝의 아담한 모양으로 머리에 보관을 쓴 보살형의 비로자나불상이다.

청화사 측에 의하면 해방 직후에 대성동 동공원에서 옮겨 모셨다고 한다. 동공원중앙초등학교 동쪽의 당산(堂山)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신사(神社)가 있었으며, 청주 주변의 문화재를 수집하여 정원을 장식하였다. 이 불상도 청주지역의 어느 폐사지에서 동공원으로 옮겼다가 해방 후 이곳으로 이전하여 봉안된 것으로 짐작된다. 2010년 7월 23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1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불신과 광배 및 대좌의 상대석이 한 개의 돌로 조성되어 이 부분은 잘 남아 있으나 대좌의 중대석 이하 부분은 모두 남아 있지 않다.

불상의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관 내에는 초문(草紋)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얼굴은 갸름하면서도 동안(童顔)의 모습으로 양감이 있어 고운 인상이나 전체적으로 마멸이 심하다. 입술에는 미소가 감돌고 있으며 눈은 가늘게 뜨고 있다. 코는 뚜렷하고 양 볼에는 살이 쪄 있으며, 양쪽 귀는 길게 늘어져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여 자비롭고 근엄한 모습이다.

법의는 통견으로 주름이 정교하게 표현되었으며 좌우대칭을 이룬다. 수인은 오른손 둘째손가락을 왼손으로 잡은 지권인(智拳印)을 취하고 있어 비로자나불상임을 나타내준다.

광배는 배 모양의 거신광배(擧身光背)로서 두광과 신광이 별도로 표현되었는데 각각 연화문과 화염문을 조각하였다. 대좌는 불신과 같은 돌로 조성된 상대석만 있는데 평면이 원형으로 윤곽선이 굵은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특징]

이 불상처럼 보관을 쓰고 있는 비로자나불상은 흔치 않으며 청주의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