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비석치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419
영어공식명칭 Biseokchigi
이칭/별칭 비사치기,돌치기,망까기,비석까기,목자까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아동 놀이|편 놀이

[정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이들이 손바닥만 한 납작한 돌을 이용하여 노는 놀이.

[개설]

비석치기는 두 사람 이상이 겨루는 편 놀이이다. 손바닥만 한 납작한 돌을 비석처럼 세워 놓고 나서, 거리를 두고 다른 돌을 던지거나 차서 비석 돌을 맞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룬다. 전국 곳곳에 분포하는 놀이이며, 주로 남자 어린이들 사이에서 전승된다. 비사치기, 돌치기, 망까기라고도 하는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보통 비석치기, 비석까기, 목자까기 등으로 칭한다.

[연원]

부여 지역에서 언제부터 비석치기를 놀이하기 시작하였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놀이 도구로 사용하는 손바닥만 한 돌은 목자 또는 비석이라 칭한다.

[놀이 방법]

일반적인 비석치기의 순서와 방법은 마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먼저 마당이나 공터에 선을 긋고 3~5명씩 편을 나누어 가위바위보로 선후를 가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진 편은 3~4m 떨어진 곳에 비석을 나란히 세우고, 이긴 편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비석을 던져서 상대편의 비석을 쓰러뜨린다.

부여 지역에서 전승되는 비석치기의 첫 단계는 출발선에서 목자[비석]를 손으로 잡고 던져서 상대의 비석을 쓰러뜨리는 동작이다. 밑으로 던지기와 위로 던지기 두 가지가 있다. 이어 한 발 뛰고 던지기, 두 발 뛰고 던지기, 세 발 뛰고 던지기, 한 발 뛰고 밀어 차기, 두 발 뛰고 밀어 차기, 세 발 뛰고 밀어 차기를 비롯하여, 목자를 발등, 무릎, 가랑이, 배꼽, 겨드랑이, 어깨, 입, 코, 눈, 귀, 이마, 머리 등에 끼우거나 올려놓고 걸어가서 상대의 비석 위에 떨어뜨려 넘어지게 하는 방법이 있다. 대체로 다리에서 신체의 위쪽으로 점점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단계를 먼저 끝내는 편이 이긴다.

지역에 따라 독특한 규정을 두기도 한다. 예를 들어, 던진 비석이 맞았는데 넘어지지 않는 경우 그 비석을 수직으로 세워 놓고 다시 던질 기회를 준다거나, 비석이 앞으로 엎어지면 무효로 하여 반드시 뒤로 넘어져야 성공으로 인정하는 규칙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