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06
한자 金潤會
영어공식명칭 Kim Yunhoe
이칭/별칭 한상훈(韓相勳),한상철(韓相哲),임택수(林澤洙),김낙종(金洛鍾),김재환(金載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3년 3월 1일연표보기 - 김윤회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2년 3월 - 김윤회 공주영명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2년 4월 - 김윤회 서울 법정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34년 - 김윤회 서울 지역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에 합류
활동 시기/일시 1936년 7월 30일 - 김윤회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범인 은닉으로 징역 2년 형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38년 3월 2일 - 김윤회 서대문형무소 출옥
몰년 시기/일시 1950년 7월 20일연표보기 - 김윤회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20년연표보기 - 김윤회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출생지 송간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송간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공주사립영명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영명학당2길 33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김윤회(金潤會)[1913~1950]는 1913년 3월 1일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송간리에서 태어났다. 1932년 3월 공주영명학교를 졸업하고, 4월 서울 법정학교에 입학하였다. 1933년 8월 비밀결사 독서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는 한편, 1933년 9월 국제공산당 관련 활동을 하였다. 이후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에 참여하였다. 1934년 9월부터 이재유(李載裕)를 중심으로 서울 지역 학교와 공장, 인천 지역 공장 등지에서 ‘적화 공작’이 이루어질 때 박영출(朴英出), 심계월(沈桂月)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34년 10월부터는 적색노동조합을 조직하여 투쟁을 실천하기로 하였다.

김윤회는 인천의 공장을 중심으로 공산주의운동을 하던 이인행을 집에 머무르게 하여 일본 경찰의 체포를 피하도록 하였다. 이후 1934년 11월 하순까지 심계월의 요청으로 이재유와 함께 공산주의 연구를 하고, 유순희(兪順姬)의 은신을 도왔다. 경성제국대학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교수가 체포된 후 미야케 교수의 아내가 고서점 가메야[龜屋]를 개업하도록 도왔다.

김윤회는 ‘국제공산당 사건’으로 동지 16명과 함께 체포되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신의주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다가 1934년 1월 26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이후 적색노동조합 조직 투쟁의 일환인 용산적색노동조합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36년 7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범인 은닉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 1938년 3월 2일 출옥하였다.

김윤회한상훈(韓相勳), 한상철(韓相哲), 임택수(林澤洙), 김낙종(金洛鍾), 김재환(金載煥) 등의 이름으로도 활동하였으며, 1950년 7월 2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윤회의 공적을 기려 202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