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31
한자 東南里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Dongnamni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11-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영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38년 - 동남리사지 이시다 모사쿠가 발굴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7월 26일연표보기 - 동남리사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50호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3년 - 동남리사지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4년 - 동남리사지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남리사지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소재지 동남리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11-1 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16,318㎡
소유자 부여군|개인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 시대 절터.

[개설]

동남리사지는 백제 시대의 폐사지로, 탑지가 확인되지 않은 특이한 가람 배치를 보이고 있다.

[변천]

동남리사지는 이름이나 유래가 정확하지 않으나, 출토 유물로 보아 백제 시대에 조성된 절터로 보고 있다.

[위치]

동남리사지부여군청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m가량 떨어져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서 부여읍 군수리 성말마을로 통하는 동서 소로의 북쪽에 있다. 동남리사지 북편에는 동남초등학교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38년 이시다 모사쿠[石田茂作]의 발굴 조사에서 가람의 배치 방식은 남북 일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중문·금당·강당이 서 있었고, 회랑이 중문에서 강당으로 이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납석제 불상 조각, 기와로 만든 광배 조각, 동제 금구 조각, 동제 불상 조각과 다양한 토기·기와가 출토되었다.

1993년 및 1994년에는 유적의 정비 복원을 위하여 충남대학교 박물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적심토를 이용한 대형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며, 유적 동편에는 의례 행위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폐기장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기장에서는 중국 청자 등 다량의 유물과 함께 중요 건물에 사용되는 수막새도 상당량 출토되었다.

[현황]

동남리사지는 1984년 7월 26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지정 면적은 1만 6318㎡이다.

[의의와 평가]

동남리사지는 탑지가 확인되지 않은 특이한 가람 배치를 보이고 있는 절터로 부여 정림사지부여 군수리 사지 등과 함께 백제의 불교 사원 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