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63
한자 九鳳山城
영어공식명칭 gubong Fortress
이칭/별칭 독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봉리 414-7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성현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구봉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봉리 414-7 일원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크기(높이,길이,둘레) 약 200m[내성 둘레]|약 620m[외성 둘레]
면적 16,950㎡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봉리에 있는 테뫼식 산성.

[개설]

구봉산성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봉리에 있는 구봉산 정상을 중심으로 축조된 토축산성이다. 평야 지대에 발달한 구릉을 이용하였으며, 남쪽으로 넓은 구룡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관방 요처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독산성(禿山城)’이라고도 한다.

[위치]

구봉산성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봉리 414-7 일원에 있다. 높이 94m의 구봉산 정상에 있다.

[형태]

구봉산성은 성벽이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성으로 내성은 산의 정상 평탄지를 감싸고 있고, 외성은 8~9부 능선을 따라 조성되었다. 성의 둘레는 내성 약 200m, 외성 약 620m이다. 내성은 평면상 장축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이는 74m, 너비는 30m이다.

성벽은 뚜렷하지 않지만 정상부 평탄지 가장자리를 따라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능선을 따라 비교적 뚜렷한 성벽의 흔적이 확인된다. 동벽은 성 밖으로 가파른 지형에 조성되었고, 높이는 6m 내외이다. 성 내측은 평탄지가 조성되어 있다. 동남쪽 성벽 구간에 추정 문지가 있다. 북벽은 산의 등마루 부분에 있는데, 내성과 연결되는 지점은 급경사 계곡부여서 성안으로 진입하기 힘든 지형이다. 서벽은 돌출된 등선을 따라 성벽이 조성되어 있고 높이는 약 6~7m이다. 남벽의 중앙 부분은 성벽이 확인되지 않는다. 내성의 정상부 평탄지 일대와 외성의 동편 평탄지 일대에 성내 시설물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성내에서 원삼국 시대부터 백제 시대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의의와 평가]

구봉산성은 일종의 고지성집락(高地性集落) 형태로, 방어 목적이 강한 초기 산성 취락 유적이라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