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45
한자 忠化 五德寺 御筆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로86번길 105[오덕리 284]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18년 - 충화 오덕사 어필각 이건
이전 시기/일시 1995년 - 충화 오덕사 어필각 이전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6월 1일연표보기 - 충화 오덕사 어필각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호 지정
현 소재지 충화 오덕사 어필각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로86번길 105[오덕리 284]지도보기
성격 전각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오덕사
관리자 오덕사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선조의 어필을 보관하기 위하여 세운 전각.

[개설]

충화 오덕사 어필각(忠化 五德寺 御筆閣)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오덕사(五德寺)에 있다. 선조(宣祖)가 내린 어필을 봉안하기 위하여 오덕사에 세운 전각이다. 오덕사는 중종 때 왕자 복성군(福城君) 이미(李嵋)[1509~1533]의 원당(願堂)이었는데, 1570년(선조 3) 안태사(安胎使) 송인수(宋麟壽)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태봉산선조의 태함(胎陷)을 안치하였고, 이후 선조의 태실(胎室)을 수호하는 재궁(齋宮)이 되었다. 선조오덕사에 어필과 용포(龍袍)를 내리자 봉안하기 위한 어필각을 신설하였다. 어필은 ‘원객좌장야 우성고사추 청량개과천선(遠客坐長夜 雨聲孤寺秋 請量改過遷善)’이고, 당나라 시인 이군옥(李群玉)이 쓴 「우야정장관(雨夜呈長官)」이라는 시의 일부를 인용하였다. 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1995년 6월 1일 충청남도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충화 오덕사 어필각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284번지에 있다. 오덕사 경내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있다.

[변천]

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여러 차례 옮겨진 것으로 보이는데, 1918년 주지 나일택(羅日澤)이 칠성각을 새로 짓고 어필각을 이건하여 중창하였다. 또한 ‘갑신4월13일(甲辰四月十三日)’이라는 상량문을 보면 1904년에도 한 차례 이건된 것으로 보인다. 1994년까지 대웅전 우측 위쪽에 있었으나, 1995년 오덕사 경내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으로 옮겨져 복원되었다.

[형태]

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규모이다. 우측 3칸에는 툇마루가 달린 온돌방을 만들어 작은 불당으로 이용하고, 좌측 1칸에는 넓은 방으로 쓸 수 있는 온돌방을 조성하였다. 구조는 3겹으로 쌓아 올린 자연석 기단 위에 가공하지 않은 큰 주춧돌을 두고 배흘림기둥을 세운 형태이다. 공포는 주심의 위쪽으로만 공포를 구성한 무출목(無出目)의 익공쇠서[翼工牛舌]가 한 개로 짜인 초익공(初翼工) 형식이다. 쇠서는 위를 향하여 뻗은 앙서형(仰舌形)이며, 끝에는 연꽃이 조각되어 있고, 창방 위에는 3개의 소루(小累)를 두었다.

[의의와 평가]

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조선 후기 왕의 어필을 봉안한 전각으로, 조선 후기 태실 왕실 원찰 및 재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건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