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21
한자 橋梁
영어공식명칭 Bri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하천을 건너거나 지장물, 다른 도로 등을 통과할 목적으로 만든 도로의 인공 구조물.

[개설]

부여군에는 금강, 석성천, 금천 등 여러 하천이 흐르고 있어 도로에 교량이 많이 가설되었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따르면 부여군 교량은 2021년 12월 현재 211개에 달한다.

[발달 배경]

부여군의 교량은 여러 하천이 흐르면서 발생한 도로의 기능 저해를 해소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하천 지류나 소하천의 교량은 만덕교 등과 같이 조선 시대부터 조성되었다. 금강[백마강]을 건너는 교량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규암나루를 통하여 통행하였으나 장마철에 강이 범람하면 통행이 어려워 교통상의 불편이 많았다.

부여 지역에서는 새마을운동이 시행된 1970년대부터 대규모 교량 조성 공사가 이루어졌다. 1971년 외산면에 만수1교와 만수교가 준공되었는데, 해당 교량은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부여 내 교량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준공되었다. 1972년 규암면에 소정교, 1973년 은산면에 합수2교, 1975년 임천면에 군사교, 1976년 은산면에 상홍교 등이 준공되었다. 부여 지역 곳곳을 연결하는 교량의 건설로 금강 유역의 넓은 충적 평야에서 생산되는 쌀과 과채류 등의 대량 수송이 가능해졌다.

2013년에는 은산면에 가중1교가, 2014년에는 내산면에 안치교가 준공되었다.

[도로 종류별 교량]

부여군의 교량을 도로 종류별로 살펴보면, 고속국도에는 50개, 일반국도에는 82개, 지방도에는 23개, 군도에는 56개가 가설되어 있다.

고속국도에는 서천공주고속도로에 48개, 논산천안고속도로에 2개 등 30개의 교량이 가설되어 있다. 서천공주고속도로의 교량은 옥산면 2개, 남면 8개, 홍산면 12개, 구룡면 6개, 은산면 11개, 규암면 9개가 있으며, 논산천안고속도로의 교량은 모두 초촌면에 가설되어 있다.

고속국도의 교량 중 서천공주고속도로의 공주 방향 지천교는 길이가 455m에 달한다. 한편,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내지2교는 총 폭 59m에 달하는 부여군 내 가장 넓은 교량이다.

일반국도에는 국도 제4호에 41개, 국도 제29호에 22개, 국도 제39호에 1개, 국도 제40호에 18개 등 82개의 교량이 가설되어 있다.

국도 제4호의 교량은 부여읍 11개, 홍산면 10개, 구룡면 6개, 규암면·석성면에 각각 4개씩, 옥산면·남면에 각각 3개씩 가설되어 있다. 국도 제29호의 교량은 규암면 7개, 양화면 2개, 임천면 5개, 은산면·장암면에 각각 4개씩 가설되어 있다. 국도 제39호의 교량은 은산면에 1개가 있다. 국도 제40호의 교량은 부여읍 11개, 내산면 5개, 외산면·구룡면에 각각 1개씩 있다. 국도 제4호부여대교는 길이가 1,595m이며, 국도 제40호의 왕진교는 길이가 780m에 달한다.

지방도에는 지방도 제68호에 2개, 지방도 제606호에 2개, 지방도 제611호에 2개, 지방도 제613호에 4개, 지방도 제625호에 2개, 지방도 제723호에 6개, 지방도 제799호에 5개 등 23개의 교량이 가설되어 있다. 지방도 제68호의 교량은 임천면·세도면에 각각 1개씩 있으며, 지방도 제723호의 교량은 규암면·구룡면·은산면에 각각 1개씩, 충화면에 3개가 있다. 지방도 제799호의 교량은 초촌면에 1개, 석성면에 4개가 있다. 지방도 제625호 상의 백마강교는 길이가 725m에 달하며 백제문화단지로 이어진다.

군도의 교량은 부여군의 읍면동 전체에 고루 분포하여 있다. 주요 군도인 백제대교는 길이가 830m에 달한다. 백제대교금강[백마강]을 건너는 군도의 교량으로 부여군 중심 시가지를 연결하고 있다.

[읍면동별 교량 현황]

부여군 내에 설치된 면별 교량에는 부여읍 26개, 규암면 31개, 은산면 20개, 홍산면 24개, 석성면 18개, 남면 16개, 옥산면 11개, 구룡면 15개, 내산면 8개, 외산면 9개, 초촌면 9개, 임천면 8개, 충화면 6개, 세도면 4개, 장암면 4개, 양화면에 2개 설치되어 있다.

부여군 내에서 교량이 가장 많이 가설된 곳은 규암면이다. 금강규암면을 감아돌며 흐르고, 금강으로 유입되는 지류 하천들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지역 간 연결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교량이 분포해 있다. 교량이 가설된 금강 양안은 가을철 코스모스가 유명하다. 한편, 교량이 가장 적은 지역은 양화면으로, 입포리에 입포교, 벽용리에 벽룡교가 있다.

부여군의 교량은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충청남도], 전문관리기관[천안논산고속도로(주), 한국도로공사]에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2022년 8월 27일 현재, 6개 교량이 교량 등급에서 불량을 받았고, D 등급을 받은 교량이 3개, E 등급을 받은 교량이 1개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