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160
한자 元山島海水浴場
영어공식명칭 Wonsando Beach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3길 44-64[원산도리 1860-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최초 설립지 원산도해수욕장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3길 44-64[원산도리 1860-3]
현 소재지 원산도해수욕장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3길 44-64[원산도리 1860-3]지도보기
성격 해수욕장
면적 234,000㎡
전화 원산도출장소[041-930-6856]
홈페이지 보령시청(https://www.brcn.go.kr)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에 있는 해수욕장.

[건립 경위]

해안사빈 중 모래가 고우면서 길고 넓게 펼쳐져 있고, 경사가 완만하고, 배후의 해안사구에 해송이 심어져 있는 등 풍치가 아름답고, 바닷물 수온이 적당한 경우 대개 해수욕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충청남도 보령시에도 육지와 섬의 해안 곳곳에 해안사빈들이 잘 발달하였고, 그 중의 거의 대부분에 해수욕장이 들어서 있다. 보령시에는 17곳의 해수욕장이 있는데, 원산도해수욕장도 그 중의 한 곳이다.

[변천]

원산도해수욕장은 국유지로서 원칙적으로 개인에 의한 개발이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원산도해수욕장번영회는 국유지를 임대하여 원산도해수욕장의 민자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원산도해수욕장은 해수욕장이 속해 있는 섬의 이름을 따른 것이다. 원산도의 옛 이름은 ‘고만도(高巒島)’, '고란도(孤蘭島)'라고 하였는데, 산이 높고 구릉이 많아 ‘원산도’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성]

원산도는 충청남도에서는 안면도 다음으로 큰 섬이어서 해수욕장도 여럿이 있는데, 섬의 남쪽 해안에 오봉산해수욕장, 사창해수욕장, 원산도해수욕장, 저두해수욕장이 서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자리잡고 있다. 원산도해수욕장원산도의 해수욕장들 중에서 제일 크다.

원산도해수욕장은 서해의 여느 곳에서 찾아보기 힘든 남향으로 조류의 영향이 적어 해수욕을 즐기기에 더없이 훌륭한 조건을 갖고 있다. 모래사장 중간쯤 솟아오른 바위봉우리가 눈길을 끄는 원산도해수욕장은 봉우리를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 백사장으로 나뉜다.

원산도해수욕장의 백사장은 질 좋은 규사로 이루어진 모래의 입자가 마치 밀가루를 뿌려놓은 듯 고와서 인천의 한국판유리공장에 원료로 공급되고 있다.

원산도해수욕장의 면적은 234,000㎡, 길이는 1,950m, 폭은 120m로 원산도 내 다른 해수욕장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이다. 원산도해수욕장의 수심은 1.5m, 경사는 2~3도, 수온은 21℃로 적당하다. 원산도해수욕장에 ‘찬샘’이라는 시원한 샘이 솟아 섬에서 흔히 겪는 식수의 어려움은 없다.

[현황]

원산도해수욕장대천항에서 출발하는 선박 이외에 대천항에서 원산도까지의 구간에 최근 개설된 보령해저터널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 원산도해수욕장 근처에는 10여 개의 숙박업소가 있다. 숙박업소 중 일부는 식당을 겸하기도 하며, 일부 주민들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식당 형태의 횟집과 상가를 운영한다.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업체들은 대부분 여름철에만 운영된다. 원산도해수욕장 인근에서는 민박 형태의 숙박도 가능하며, 야영장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원산도해수욕장에서는 일출과 일몰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원산도해수욕장의 백사장이 끝나는 부분에 갯바위가 솟아 있는데,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면 놀래미와 우럭, 살감성돔을 잡을 수 있고, 바위 틈을 기어다니는 칠게를 잡는 재미 역시 쏠쏠하며, 백사장을 조금만 헤쳐도 각종 조개를 손쉽게 잡을 수 있다. 원산도해수욕장의 솔숲과 백사장 사이로는 산책로가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의 원산도 개발 계획이 준비 중인데, 원산도해수욕장과 인근의 오봉산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콘도미니엄, 가족호텔, 유스호스텔, 임대 별장, 여관 등의 숙박시설, 해수풀장, 수상스키, 모터보트, 제트스키, 윈드서핑 등의 해양스포츠 단지, 다목적 운동장과 테니스장, 사이클링코스, 심신단련장 등의 체육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원산도해수욕장의 관리부서는 원산도출장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